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통적푸드시스템
- 시장접근법
- 풋옵션
- 시사상식
- 콜옵션
- 일반상식
- 상식
- 무이표이자율
- 유기농업
- 기업의이윤극대화
- 경제상식
- 스왑
- 금리스왑
- 선도가격
- 환경경제학
- 독점시장
- 명령-통제접근법
- 미시경제학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시장실패
- 무차별곡선
- 선물헷징
- 기초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선물계약
- 로컬푸드시스템
- 공기업상식
- 과점시장
- 카르텔
- 시장실패모형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생산경제학의 이해 본문
★ 경제학의 이해
- 경제학? 희소한 자원으로 무한한 욕망 충족 노력 → 선택의 학문
- 자원 : 자연자원뿐만 아니라 노동, 자본 등 생산의 투입요소 모두를 포함
- 경제이론의 논리 : 가설 → 검증 → 이론(일련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것)
☆ 경제학과 농업경제학
- 농업경제학 : 경제학의 논리를 농업 현안 문제에 응용하는 분야
- 경제학은 물론이고, 농업에 대한 지식도 필수!
☆ 농업생산경제학
- 농업경영자의 목표 : 이윤 극대화
-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의 선택 → What to produce
- 생산물 간에 자원의 배분 → How to produce
-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가정 : 물리적 + 경제적 측면
- 시장의 경쟁 환경 : 농산물 시장이 순수경쟁임을 가정
<순수경쟁(완전경쟁)의 가정>
1) 하나의 산업에 수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
2) 시장가격에 순응
3) 생산물이 동질적
4) 시장 진입과 퇴출의 자유
5)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완전한 정보가 주어짐
→ 순수경쟁적 모형을 농업에 적용하려는 이유?
① 순수경쟁모형은 농업부문에서 완전하게 적용이 되지 않음
②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어떤 모형보다도 농업부문을 설명하는데 적합
③ 현실적으로는 농업이 독점적 경쟁인 경우가 많음
★ 기업이론
☆ 기업의 의미
<경제주체>
- 기업(생산자) : 이윤 극대화
- 가계(소비자) : 효용 극대화
- 정부(생산자+소비자) : 사회적 후생 극대화
→ 기업 : 이윤을 목적으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 및 판매를 업으로 하는 경영조직
- 자본가, 노동자, 경영자로 구성됨
- 자본제 기업은 자본과 경영이 분리
- 농업 : 지주 = 자본가 = 경영자 = 노동자 (자본제 기업농이 아닌 농가)
☆ 기업이론의 구성요소
1) 기업의 목표
- 일반적 → 기업의 이윤극대화, 판매량 극대화, 시장점유율 극대화
- 부수적 → 기업 위신, 공신력, 사회적 책임 등...
→ 최종목표 : 항구적 이윤극대화와 수명의 장기화
2) 생산물 변형 과정
- 기술적 접근 : 기술적 효율화, 물량적 효율화
- 경제적 접근 : 경제적 효율화(최소의 비용 → 최대의 효과)
→ 기술적 효율화도 경제적 효율화가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만 의미가 있음
ex) 원자력 자동차, 달나라 주거지 개발
- 기업이론 : 기업의 목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선택과정으로서의 생산물 변형과정, 정보의 획득, 의사결정분석 및 그 응용에 관하여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생산물 변형과정의 접근방법>
① 투입물 - 산출물 관계
→ 한개의 투입물과 한개의 산출물 (다른 투입물은 불변으로 가정하자)
→ 가장 적은 투입물로 최대의 산출물 추구
(단일 투입 - 단일 산출은 현실적으로 거의 X) , ex) 봉재기계 1대, 노동량 → 에이프런(산출물)
② 투입물 - 투입물 관계
→ 일정한 양의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한 투입물들의 결합
→ 가장 적은 비용 추구 ex) 옷 100개(산출물)를 만들기 위한 철사와 노동력의 결합
③ 산출물 - 산출물 관계
→ 일정한 양의 투입물로 생산할 수 있는 두가지 산출물의 결합
→ 가장 많은 이윤추구 ex) 10,000원(투입물)으로 몇 개의 빵과 아이스크림(산출물)
→ 기업의 장기분석에서는 고정요소가 존재X, 시간과 생산규모가 중요한 변수가 됨.
★ 생산경제론의 본질
- 생산경제론의 역할 → 생산위협과 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선택의 이론을 사용하여 생산자나 소비자의 목표, 목적이 달성되도록 함.
- 농업생산 경제론 → 농업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자본, 노동력, 토지 및 관리자원의 사용에 선택의 원리를 적용하는 경제학 분야의 하나
'생산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자원과 산출과의 관계 (2) | 2018.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