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전통적푸드시스템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선물계약
- 미시경제학
- 명령-통제접근법
- 시사상식
- 독점시장
- 경제상식
- 시장실패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선도가격
- 시장실패모형
- 기초상식
- 무차별곡선
- 콜옵션
- 기업의이윤극대화
- 환경경제학
- 카르텔
- 공기업상식
- 스왑
- 로컬푸드시스템
- 일반상식
- 무이표이자율
- 과점시장
- 풋옵션
- 시장접근법
- 유기농업
- 금리스왑
- 상식
- 선물헷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교환의효율성 (1)
경제학(전공) 연습장
18. 후생경제학, 생산의 효율성, 교환의 효율성
18. 후생경제학★경제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 후생경제학 : 서로 다른 경제상태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상태를 가늠하여 선택하거나 접근하는 정책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즉, 실증적 분석이 아닌 규범적 분석이다.- 가치판단의 문제로 평가 기준은 효율성과 공평성이다.- 분석의 기본모형은 2x2x2의 생산경제로 생산요소 2(L, K), 상품 2(X, Y), 사람 2(A, B) 각각 2가지씩을 가지고 있다.★생산의 효율성→ 바람직한 자원의 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주어진 노동L, 자본K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X, Y를 생산해야한다. → 생산의 효율성 그래프를 살펴보면 가로변의 길이는 노동(L)의 부존량, 세로변의 길이는 자본(K)의 부존량을 나타낸다. 주어진 L과 K의 부존량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대한의 쌀과 옷의..
미시경제학
2018. 6. 14.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