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명령-통제접근법
- 로컬푸드시스템
- 카르텔
- 기초상식
- 과점시장
- 시장실패
- 일반상식
- 콜옵션
- 선도가격
- 시사상식
- 무차별곡선
- 유기농업
- 풋옵션
- 선물헷징
- 경제상식
- 스왑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공기업상식
- 전통적푸드시스템
- 기업의이윤극대화
- 시장실패모형
- 상식
- 금리스왑
- 미시경제학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무이표이자율
- 선물계약
- 시장접근법
- 환경경제학
- 독점시장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 선물 옵션 시장론 - 서론, 선물계약, 선도계약, 옵션, 풋옵션, 콜옵션 본문
선물옵션 시장론에서는 John C. Hull의 파생상품의 평가와 헷징전략이라는 교재를 사용해서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서론
파생상품이란 무엇일까?
①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위험 회피)
② 투기를 위해(미래 시장의 방향을 예측)
③ 차익거래 이익을 고정시키기 위해(무위험 차익거래)
④ 거래비용 없이 투자의 본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스왑거래)
⑤ 부채의 본질을 변화시키기 위해(변동금리 → 고정금리)
그전에 간단한 용어 정리부터 들어가 보자
★ 선물계약 - 약정일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자산을 사거나 팔거나 하는 의무가 부여된 계약
포지션 - 롱 : 보유하고 있는 상태, 숏: 팔아 놓은 상태 (거래소 입장)
롱 포지션 → 매입포지션 / 숏 포지션 → 매도포지션
(이때, 합의된 가격을 선물가격, 그리고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현물가격이라 한다.)
★ 선도계약 - 특정 가격으로 미래 특정 시점에서 자산을 사고 파는 계약이란 점에서 선물계약과 유사하지만 선물계약은 거래소를 통해, 선도계약은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주로 은행의 환율거래 문제에 등장)
* 기관 → 공매도 (주식이 없는 상태에서 개인 주식을 끌어다가 매도(숏포지션) → 가격이 떨어지면 매입(롱포지션) 해서 시세 차익을 남김/ 대신 상응하는 돈을 담보로 걸어야 함) → 얼마전 삼성증권 일로 공매도를 ㅜ없애야한다는 의견이 국민청원에도 등장했죠!!!
* 장내시장 → 누구나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시장 (건수는 많지만 건당 소액거래)
* 장외시장 → 거래소의 중요한 대체시장(앤드유저 → 실제 필요한사람), 거액의 금액이 오고 감(금융기관, 기업의 재무담당자, 펀드 매니저들 사이에서 거래)
* 서론에서는 옵션에 대해 맛보기를 할까 합니다
2장부터 선물시장 이야기라 옵션부터 먼저 맛 봅시다.
★옵션 - 권리
· 콜 옵션 : 소유자에게 약정일에 행사가격으로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 풋 옵션 : 소유자에게 약정일에 행사가격으로 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
선도거래와 달리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이를 옵션 프리미엄(매입 비용)이라고 한다
그니까 옵션 계약을 했는데 나중에 거래를 취소하게 되면 지불해야하는 일종의 계약금 같은 것,,,
사례) 수출기업의 헷징 전략을 선도 거래와 옵션거래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현대차 (수출기업) - 헷저 → 오늘 4/ 14일 환율은 1$ = 1,100원이다.
3개월 뒤 수출대금 1억$ 입금예정
3개월 뒤 환율하락 위험에 직면해 있다. 어떤 거래를 통해서 헷지 해야할까? → 풋 옵션(달러를 팔 권리)을 사서 헷지해야함.
① 먼저 가만히 있을 경우(No Hedge) - 화질 양해 바람
환율의 변동에 따라 변하는 일반적인 y = x 그래프
② 선도거래 (3개월 후, 1,200원) 매도 (손익)
선도 거래를 통해서 1,200원에 매도한다면 환율이 1,200원보다 아래로 떨어질 경우 나는 1,200원에 팔 수 있으니까 이득!
But 1,200원보다 환율이 오르면 1,200원에 팔아야 되니까 손해를 봄
①+② 선도거래를 통한 수출대금
수출대금은 환율이 오르던 말던 1,200에 고정
③ 풋 옵션 거래 (3개월 후, 1,200원으로 팔 수 있는 권리)
→ 옵션 프리미엄 (10원/$) 지불
환율이 1,200원보다 떨어졌을 경우 이득을 남기면서 풋 옵션을 행사해 팔 수 있지만, 환율이 1,200원보다 오를 경우, 더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에 풋 옵션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다.
→ 단!!!! 옵션 프리미엄을 고려해서 손익은 1달러당 10원씩 까야됨(나는 1,200원에 팔 권리를 10원/$에 샀으니까) 1,000원일때, 190억, 1,100원일때, 90억 1,200원 이상 올라가면 10억의 옵션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옵션 행사를 포기하는 것임!!!!
①+③ 옵션을 이용한 헷징 수출 대금
따라서 환율이 1,200원보다 상승했을 경우, 나는 더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에 옵션을 행사하지 않고(계약파기 - 10원/$만큼 지불) 1,300원 1,400원 그 이상의 시장가격에 팔면 되므로 그래프는 1,190원에서 고정되다가 1,200원 이상부터는우상향하는 그래프로 도출된다
→선도거래보다 손해를 훨씬 적게 예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시간은 콜 옵션과 풋 옵션 매입, 매도 그래프에 대해서 ~
'파생상품 선물 옵션 시장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선물시장의 구조, 선물계약, 증거금, 회계처리, 손익 (1) | 2018.04.16 |
---|---|
1. 선물옵션 시장론-서론, 풋옵션, 콜옵션 손익 그래프, 옵션의 종류 (2) | 2018.04.14 |
3.선물을 이용한 헷징전략, 주가지수 선물, 주식 포트폴리오의 헷징 (0) | 2018.04.13 |
3. 선물을 이용한 헷징전략, 교차헷징, 헷지비율, 최적 헷지비율, 최적 선물계약수 (0) | 2018.04.12 |
3. 선물 이용한 헷징전략, 매입헷지와 매도헷지에서의 베이시스 사례 (2) | 2018.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