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장실패
- 시장접근법
- 기업의이윤극대화
- 독점시장
- 과점시장
- 선물헷징
- 기초상식
- 무차별곡선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카르텔
- 시장실패모형
- 공기업상식
- 환경경제학
- 유기농업
- 전통적푸드시스템
- 무이표이자율
- 선물계약
- 로컬푸드시스템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풋옵션
- 상식
- 일반상식
- 경제상식
- 콜옵션
- 미시경제학
- 명령-통제접근법
- 시사상식
- 선도가격
- 금리스왑
- 스왑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4.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 해결책 : 명령, 통제 접근, 비용효율성 조사 본문
★ 환경정책 구현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General Approach to Implementing Environmental Policy)
- 배분적 효율 이외의 접근 방식
① 명령, 통제 접근법(전통적인 접근법)→ 대부분 나라에서 환경정책을 지배,,
② 시장 접근법 → 5장에서...
☆ Command-and-Control approach : A policy that directly regulates polluters through the use of rules or standards
규칙이나 기준의 사용을 통해 오염원들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정책
★ 명령, 통제 접근방식이 비용 효율적인가? (Is the Command-and-Control Approach Cost-Effective?)
명령, 통제 접근법은 ① 기술 기반 기준의 사용 ② 균일한 기준의 사용 두가지로 나뉜다
① 기술 기반 기준의 비효율적인 비용(Cost-Ineffectiveness of the Technology-Based standards)
기술 기반 기준은 잠재적으로 오염원이 주어진 감소 수준을 달성하게 하는 비용을 최소화하지 못하게 함 → MAC곡선은 오염에 대해 최소 비용 방법을 선택한다,,
* 정부가 지정한 의무기술이 모든 오염원에 대하여 가장 저렴한 접근 방식이 아니라면, 적어도 일부는 그들 각각의 MAC곡선 위에서 운용되도록 강요 받을 것이다,,
사회가 MSC(사회적 한계비용)보다 더 많은 비용을 발생 → 비효율적
반면 성과 기반 기준(Performance-Based standard)이 사용된 경우, 각 오염원들이 해당 기준을 달성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자신의 이익에 따라 가장 비용이 적게드는 저감 방법을 선택할 것임.
그러나 이 선택 자체로 비용효율적인 해결책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② 균일한 기준의 비효율적인 비용(Cost-Ineffectiveness of Uniform Standards)
오염원에 대해 균일한 기준을 사용하면 이들 출처가 다른 한, 비용 절감 조건은 달라지기 때문에 경제적 낭비를 할 것이다.
* 요인
㈀ 오염원(기업들)의 실질적인 시설의 나이 → 최신설비- 훨씬 낮은 한계비용으로 완화 기준을 충족할 것이다
㈁ 매입가의 지역적 차이 → 각 기업들의 투입 가격이 다른 한, 주어진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비용도 다를 것이다
→ 균일한 기준이 저비용의 완화 요소와 같은 크기로 오염을 줄이는데 높은 비용을 강제하여 필요이상의 자원을 사용하여 깨끗한 환경을 달성하도록 한다는 점,,(비효율적)
★ 두가지 오염 모델에서의 비용 효과적인 해결책
오염원이 두개 밖에 없다고 가정(각 오염원은 환경에 총 20단위의 오염 발생)
오염원 1의 한계 저감비용 : MAC1 = 2.5(A1)
오염원 1의 총 저감비용 : TAC1 = 1.25(A1)(A1)
오염원 2의 한계 저감비용 : MAC2 = 0.625(A2)
오염원 2의 총 저감비용 : TAC2 = 0.3125(A2)(A2)
(여기서 A1, A2 : 오염원 1, 2에 의해 줄어드는 오염의 양)
→ 이때, 정부가 1단위 기준을 규정하여 각각 5단위(A1 = A2 = 5)까지 줄일 것을 요구하면 MAC1 = 2.5 x 5 = 12.5, TAC1 = 1.25 x 5x5 = 31.25, MAC2 = 3.13, TAC2 = 7.81이다. 해당지역의 총 저감비용은 TAC1 + TAC2 = 39.06달러이다.
MAC1 = 12.5 > MAC2 = 3.13을 보아 오염원2가 같은 5단위 저감을 하는데 비용이 적게 들었다(비용 절감효과-abatement cost advantage) → 오염원2를 좀 더 완화한다면 총 저감비용이 더 저렴할 것이다.
But, 정부가 모든 오염원들을 강제로 같은 양으로 줄이려 할 때 기회가 허용되지 않는다. → 사회적 관점의 기준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불완전한 정보와 기업간의 형평성 문제 등이 있기 때문,,
▶ 비용효과적 해결책
정부 → 두 오염원에 대해 완화수준 재할당 → 두 오염원이 동등한 MAC를 가질 때 효과적이다.
Step1) MAC1 = MAC2라고 하자 → 2.5A1 = 0.625A2
Step2) A1 + A2 = 감소기준 → A1 + A2 = 10(정부에서 정한 감소 기준)
Step3) 연립방정식 → A1 = 2, A2 = 8
TAC1 = 1.25 x 2x2 = 5.00$, TAC2 = 0.3125 x 8x8 = 20.00$
MAC1 = MAC2 = 5.00$
→ 최적성의 한계 균등법칙(Equimarginal principle of optimality)을 따라서 10단위의 오염을 감소(저감)시키는데 총 비용은 25$가 든다. Uniform standards가 부과되었을 때보다 14.06$나 절감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14.06$는 규정된 기준이 부과될 때 사회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이다.
정부가 명령, 통제 접근법에서 기업에 적합한 저감 기준에 도달하려면 규제하고 있는 모든 기업에 대한 저감 비용 조건을 알아야 한다. → 사실상 불가능,,,
'환경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환경문제에 대한 경제적 해법 : 시장접근-환경 보조금, 예치/환불제도 (0) | 2018.06.12 |
---|---|
5. 환경문제에 대한 경제적 해법 : 시장접근 - 오염부담금. 피구세. (0) | 2018.06.11 |
4.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 해결책 : 명령-통제 접근, 환경 기준 (2) | 2018.04.16 |
3.시장 실패 모형(Modeling Market Failure), 시장 실패 분석, 코우즈 정리, 해결책 (0) | 2018.04.15 |
3.시장실패 모형(Modeling Market Failure) 외부성 이론, 외부효과 (2) | 2018.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