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장실패모형
- 로컬푸드시스템
- 시장접근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금리스왑
- 공기업상식
- 환경경제학
- 과점시장
- 기업의이윤극대화
- 명령-통제접근법
- 상식
- 콜옵션
- 미시경제학
- 일반상식
- 시장실패
- 풋옵션
- 독점시장
- 경제상식
- 스왑
- 선물헷징
- 선물계약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카르텔
- 전통적푸드시스템
- 기초상식
- 유기농업
- 시사상식
- 무차별곡선
- 선도가격
- 무이표이자율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2. 시장과 수요, 공급 본문
2. 시장과 수요 · 공급
★시장수요 → 가계의 효용 극대화
- 수요의 결정요인 : P(상품의 가격), Pr(다른 상품의 가격), M(소득수준), N(인구의 크기), T(기호)
→ 시장 수요함수 Qd = f(P, Pr, M, N, T)
∴ 시장수요곡선 → 수요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제변수는 P(가격)이다.
Ceteris Peribus(다른 모든 조건들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 → Qd = f(P ; Pr, M, N, T)
★수요의 법칙 → 가격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는 역의 관계를 가짐,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형태를 가짐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곡선 상의 점이 이동하고, 가격 이외의 변수가 변하면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함,,,
★수요의 탄력성
☆ 탄력성이란?
→ 어떤 함수관계에서 A = f(B)에 있어서 독립변수 B의 변화에 따라 종속변수 A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 사치재일 수록 가격변화에 민감하므로 탄력성이 높고, 필수재의 경우 가격변화가 심하더라도 꼭 필요해서 사야하니까 탄력성이 작다고 생각하면 됨,,
εA,B(A의 B 탄력성) = A의 변화율 / B의 변화율 = 한계함수 / 평균함수 → A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
[ 0<ε<1 → 비탄력적, ε=1 → 단위탄력적, ε>1 → 탄력적]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 → εP =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 - △Qd/△P x P/Q
- 예외 3가지 경우
ε=0일때 완전 비탄력적→ 가격이 아무리변해도 상품 수요량 변화가 없음,
ε=∞일때, 완전 탄력적 →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수요량에 큰 영향을 미침,
ε=1일때, 단위 탄력적 → 가격이 변해도 판매수입은 불변,(직각 쌍곡선)
* 가격탄력성 결정 요인
- 필수재 or 사치재 (상품의 성격) → 필수재의 경우(쌀, 채소, 생활필수품) 가격탄력성이 낮고, 사치재의 경우 탄력성이 높다
- 대체재 존재의 여부 → 대체재가 없을 경우 가격의 탄력성은 매우 작다.
-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 비중이 적을 수록 가격 탄력성이 작다.
② 수요의 소득탄력성 → εM = 수요량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 △Qd/Q x △M/M
소득의 증가 → 상품 수요 증가 → 정상재 → εM>0 정상재 → (εM>1 사치재, 0<εM<1 필수재)
소득의 증가 → 상품 수요 감소 → 열등재 → εM<0 열등재
③ 수요의 교차탄력성 → 한 상품의 가격에 생긴 변화에 대해 다른 상품의 수요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εC = Y재 수요량의 변화율 / X재 가격의 변화율 = △Qy/Qy x △Px/Px
대체재 → +값, 대체성이 클 수록 큰 값을 갖는다
보완재 → - 값, 보완성이 클 수록 절댓값이 큰 값을 갖는다
→ 교차탄력성이 0에 가깝다면 서로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음.
★시장공급 → 기업 이윤 극대화,, 설명은 사진으로 대체,,,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소비자의 최적선택, 가격소비곡선, 수요곡선, 대체효과, 소득효과, 보상수요곡선 (0) | 2018.04.24 |
---|---|
5.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제약,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 (0) | 2018.04.23 |
4. 소비자 선호체계, 효용함수, 무차별곡선, 한계대체율,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0) | 2018.04.23 |
3. 시장의 균형, 균형분석 응용 (0) | 2018.04.23 |
3. 시장의 균형, 균형의 안정성, 거미집 모형 (4) | 201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