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기업의이윤극대화
- 과점시장
- 시장접근법
- 선물계약
- 풋옵션
- 로컬푸드시스템
- 독점시장
- 경제상식
- 시장실패
- 명령-통제접근법
- 유기농업
- 환경경제학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일반상식
- 시사상식
- 상식
- 전통적푸드시스템
- 미시경제학
- 선도가격
- 스왑
- 카르텔
- 무이표이자율
- 선물헷징
- 공기업상식
- 시장실패모형
- 무차별곡선
- 콜옵션
- 기초상식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금리스왑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3. 시장의 균형, 균형의 안정성, 거미집 모형 본문
3. 시장의 균형
★ 시장 균형의 분석
(시장균형 → 수요 = 공급)
P*(균형가격) → 다른 교란요인이 없는 한 더 이상 가격이 변하지 않고 정지된 가격수준이다.
Q*(균형수급량) , E : 균형점 Qs = Qd → (시장가격 = 균형가격 이면 완전경쟁시장)
☆ 균형가격 P* 도출
Qd = -aP + b,
Qs = αP - β일때, 수요함수와 공급함수가 같을 때(Qs = Qd) 균형가격이 도출된다.
→ -aP + b = αP - β → [P* = b+β / a+α]
★ 균형의 변화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곡선이 D → D'로 이동, 이 경우 소득이 증가하거나 인구가 증가하는 가격 이외의 요인이 있을 것이다.
균형점은 E → E'
공급이 증가하면 공급곡선이 S → S'로 이동, 이 경우 기술수준이 상승했거나 요소의 가격이 하락했을 것이다.
균형점은 E → E"
★ 균형의 안정성
→ 어떤 교란 요인에 의해 균형에서 이탈되었을 때, 다시 원래의 균형으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으면 안정적 균형, 더 멀어지려 하면 불안정적 균형이라고 한다.
<정적 안정성> →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의 방향만을 가지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한다.
· 왈라스적 안정성 → 가격(P)의 변화 → 초과공급 or 초과수요일 때, 가격이 균형 가격으로 돌아오려는 움직임이다.
· 마셜적 안정성 → 생산량(Q)의 변화 → 생산량의 조정을 통해서 초과수요 가격을 변화시키는 조정 과정이다.
<동적 안정성> → 균형으로 돌아가거나 그것에서 멀어지는 시간(t) 경로 전체에 관심을 갖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한다.
☆ 거미집 모형 → 수요량과 가격의 조정속도에 비해 공급량의 조정속도가 매우 느리다.(ex. 농산물 시장)
(수요량과 가격은 순간적 반응 But 공급량은 한 기간이 지난 다음에야 반응한다.)
→ 그래프를 보면 Q1이 올해의 마늘 생산량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하면 Q1이 다 팔릴 수 있는 마늘 가격은 P1이다.
P1 가격에 알맞는 생산량은 Q2, 올해는 Q1에서 더 늘릴 수 없으므로 내년 생산량은 Q2가 되고, 그에 맞는 가격은 P2.... 이런식으로 Q1→P1→Q2→P2→Q3→P3... 계속 가다 보면 P*, Q*로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으로 수렴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모양이 거미집 모형으로 나와서 이 이론을 거미집 모형이라고 한다.
단 조건이 |공급곡선 기울기|>|수요곡선 기울기|일 때, 거미집 모형 이론이 성립한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소비자의 최적선택, 가격소비곡선, 수요곡선, 대체효과, 소득효과, 보상수요곡선 (0) | 2018.04.24 |
---|---|
5.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제약,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 (0) | 2018.04.23 |
4. 소비자 선호체계, 효용함수, 무차별곡선, 한계대체율,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0) | 2018.04.23 |
3. 시장의 균형, 균형분석 응용 (0) | 2018.04.23 |
2. 시장과 수요, 공급 (2) | 201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