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물헷징
- 미시경제학
- 무이표이자율
- 공기업상식
- 시장실패모형
- 기업의이윤극대화
- 카르텔
- 시장접근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상식
- 시장실패
- 유기농업
- 독점시장
- 금리스왑
- 선물계약
- 선도가격
- 무차별곡선
- 시사상식
- 콜옵션
- 로컬푸드시스템
- 일반상식
- 과점시장
- 명령-통제접근법
- 전통적푸드시스템
- 기초상식
- 환경경제학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경제상식
- 스왑
- 풋옵션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제4편 시장조직의 이론(완전경쟁, 독점, 과점시장, 게임이론)에 대해 알아봅시다. 본문
제4편 시장조직의 이론
★시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1) 공급자(판매자)의 수
- 공급자가 하나 밖에 없는 경우 우리는 독점시장이라고 한다.
- 공급자가 소수 밖에 없는 경우 과점시장이라고 한다.
-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가 다수일 경우 우리는 경쟁시장 (완전경쟁, 독점경쟁)이라고 한다.
2) 상품의 동질성(차별화) → 상품의 차별화를 통해서 독점력을 확보할 수 있다.
- 상품의 차별화란 동일 용도의 상품이면서 그 모양과 품질에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콜라의 경우 코카콜라, 펩시 콜라의 차이로 코카콜라의 제품 차별화로 인한 독점력을 들 수 있다.
- 상품간의 대체성으로 구분한다. 즉, 대체성이 감소하면 상품이 차별화되었다고 한다.
3) 진입의 자유
- 진입장벽이 높으면 그 시장의 경쟁정도가 약화되고 독점력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4) 담합의 가능성
- 예를 들어 카르텔의 경우 담합을 통해서 마치 독점기업과 같이 행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장의 형태를 구분해보자.
- 독점 시장의 경우 하나의 판매자와 동질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매품(국가나 특정 회사가 어떠한 물건을 독점하여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만들어서 파는 물품)과 한전(한국전력공사)이 있다.
- 과점 시장의 경우 차별과점과 동질과점 두가지로 나뉘는데 먼저 차별과점이란 소수의 판매자와 차별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제조업이 차별과점에 속한다. 다음으로 동질과점이란 소수의 판매자와 동질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독점경쟁 시장의 경우 다수의 판매자와 차별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과 이발소가 독점경쟁 시장에 속해있다.
- 완전경쟁 시장의 경우 다수의 판매자와 동질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농산물 시장과 주식시장이 속해있다.
→ 대부분의 현실 시장 형태는 차별과점 내지는 독점(적) 경쟁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점과 경쟁시장을 구분해보자.
- 기업의 수에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
- 과점 시장의 경우 기업의 수가 복수이긴 하나 각자의 시장행동이 상호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반면 경쟁시장의 경우 특정 상대방을 의식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기업의 수가 많다.
☞ 상품의 가격, 그리고 개별 기업과 산업의 산출량이 어떤 수준에서 결정될 것인지에 대해서 주로 알아볼 것이다. 가격과 산출량의 결정과정은 그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의 형태가 무엇인지, 즉 경쟁적인 시장인지 아니면 독점적인 시장인지에 따라 각각 달라진다.
따라서 일단 시장의 형태를 몇 가지로 구분한 다음, 각 시장형태별로 가격과 산출량의 결정과정을 논의해야 한다. 우리가 여기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게 될 구체적인 시장형태는 완정경쟁, 독점, 과점, 그리고 독점경쟁의 네 가지이다.
우선 완전경쟁시장은 똑같은 상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기업의 수가 매우 많은 특징이 있고, 이와 반대되는 시장의 형태로는 오직 하나의 기업만이 상품의 유일한 생산, 공급자가 되는 독점시장이 있다.
완전경쟁과 독점의 두 극단적인 시장형태 사이에 불완전경쟁이라는 또다른 시장형태가 존재하는데 이 시장형태는 독점경쟁과 과점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독점경쟁은 완전경쟁과 흡사하지만 기업마다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 과점은 소수의 기업만이 상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어서 우리가 현실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시장형태이다.
또한 게임이론을 통해서 과점시장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따라서 시장조직의 이론에는 11장 완전경쟁시장, 12장 독점시장, 13장 과점시장 14장 게임이론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독점시장, 독점의 요인,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순수독점하의 균형, 러너지수 (0) | 2018.05.29 |
---|---|
11.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효율적인 자원배분의 이유 (3) | 2018.05.24 |
10. 기업의 이윤극대화, 결합생산물의 이윤극대화 선택, 생산변환곡선, 등수입곡선 (0) | 2018.05.07 |
10. 기업의 이윤극대화, 이윤극대화를 위한 산출량의 선택, 이윤곡선, 한계수입곡선, 수요의 가격탄력성 (5) | 2018.05.07 |
9. 생산자 비용, 단기 생산비용과 장기 생산비용, 범위의 경제 (0) | 201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