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미시경제학
- 유기농업
- 시장접근법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무이표이자율
- 무차별곡선
- 스왑
- 선물계약
- 전통적푸드시스템
- 시사상식
- 환경경제학
- 풋옵션
- 선도가격
- 금리스왑
- 상식
- 콜옵션
- 로컬푸드시스템
- 명령-통제접근법
- 경제상식
- 공기업상식
- 일반상식
- 카르텔
- 독점시장
- 과점시장
- 선물헷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기업의이윤극대화
- 기초상식
- 시장실패
- 시장실패모형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9. 생산자 비용, 단기 생산비용과 장기 생산비용, 범위의 경제 본문
★단기 생산비용
→ 고정비용이 존재
노동투입량이 L일 때, 노동의 단위가격이 w면 총가변비용 = wL이다.
이를 이어주면 TVC(총가변비용 곡선)이 도출된다→ L이 가변요소이기 때문,, (총생산곡선과 대칭관계)
TC = TC(Q) = TFC(총고정비용) + TVC(총가변비용)
→ 총 비용곡선은 총 가변비용곡선을 총 고정비용곡선의 크기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모양이 똑같다!
☆단기평균비용(SAC), 단기한계비용(SMC)
- 평균비용 : AC = TC/Q = TFC/Q + TVC/Q = AFC(평균고정비용) + AVC(평균가변비용)
→ U자 모양 :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추세
(낮은 산출량에서 평균고정비용이 급격히 줄어드는데 상대적으로 큰 영향 → 높은 산출량에서 평균가변비용이 빨리 늘어나는 것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
- 한계비용 : MC = △TC/△Q =△TFC/△Q + △TVC/△Q = MFC(한계고정비용=0) + MVC(한계가변비용) → MC = MVC
이제 한계비용과 평균비용 곡선을 도출해 봅시다.
① TC의 변곡점(I)이 의미하는 산출량 수준Q0에서 MC의 최저점(B)이 결정됨.
② TC와 원점의 점선이 만나는 점(A)의 산출량 수준Q2에서 AC의 최저점(D)이 결정됨.
③ TVC와 원점의 접선이 만나는 점(I')의 산출량 수준Q1에서 AVC의 최저점(C)이 결정됨.
→ MC는 AC, AVC의 최저점 C, D를 교차하는 곡선이 도출됨,,
- AC가 최소일때, AC = MC
- AC가 감소할때, AC > MC
- AC가 증가할때, AC < MC 임을 알 수 있음
★ 장기 생산비용
→ 가변비용, 고정비용의 구분이 x
☆ 장기평균비용(LAC), 장기한계비용(LMC)
- 장기평균비용 : 무수히 많은 단기 평균비용곡선들을 감싸는 포락선의 성격을 갖는 장기평균비용곡선 도출,
→ 점A에서 SACi와 LAC가 동시에 최저점이 되며 이때, SACi에 상응하는 공장의 규모를 최적시설규모라고 함
Q*는 장기최적생산수준이라고 함.
- 장기한계비용 : 장기평균비용곡선으로부터 장기총비용곡선을 구할 수 있으며, 이 곡선의 각 점에서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모아 장기한계비용곡선을 만들 수 있고,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 사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관계를 이용하면 장기평균비용곡선으로부터 직접 장기한계비용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 LMC의 최소점 a' → 총생산곡선(TP)의 변곡점(I)의 산출량 수준이다.
☆ 현실에서의 규모의 수익은 부드러운 L자 모양을하는 경우가 많다.
→ 낮은 산출량 수준에서는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지만, 생산이 어느정도에 이르면 규모의 경제가 없어지고 그 뒤로는 줄곧 규모수익불변의 성격이 유지됨(규모의 불경제가 나타나는 것은 아님)
★범위의 경제
(소품종 대량생산 → 규모의 경제, 다품종 소량생산 → 범위의 경제)
- 한 기업이 하나씩의 상품을 생산하는 체제보다 여러가지 상품을 생산하는 체제가 더욱 경제적일 때 "범위의 경제"가 존재한다고 함
- C(x, y) < [C(x, 0) + C(0, y)] ex) x : 승용차, y ; 화물차/ x : 냉장고, y : 에어컨
- 이유
① 생산시설 혹은 투입요소 동시에 사용(승용차, 화물차 or 구두, 핸드백)
② 생산과정의 부산물 (쇠고기, 가죽)
- ES = C(x, 0) + C(0, y) - C(x, y)/ C(x, y)
ex) ES = 0.25 → 두 상품을 한 기업이 생산하는 체제에 비해 각 기업이 하나씩 생산하는 체제에서의 총생산비용이 25%나 더 크다는 것을 뜻함, (-)값이 나올 경우 범위의 불경제가 존재한다는 뜻,(냉장고 + 반도체)
★비용곡선의 이동
① 기술진보 : 기술 진보에 의해 등량곡선이 원점을 향해 이동(동일한 수준의 생산을 하는데 비용이 적게드는 효과)
② 투입요소의 가격변화 : 임금이 하락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싸진 자본투입을 줄이고 노동투입을 증가
③ 학습효과 : 생산경험의 축적에 따라 비용곡선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기업의 이윤극대화, 결합생산물의 이윤극대화 선택, 생산변환곡선, 등수입곡선 (0) | 2018.05.07 |
---|---|
10. 기업의 이윤극대화, 이윤극대화를 위한 산출량의 선택, 이윤곡선, 한계수입곡선, 수요의 가격탄력성 (5) | 2018.05.07 |
9. 생산자 비용, 등비용곡선, 비용최소화 조건, 확장경로, 요소가격 변화의 효과 (2) | 2018.04.30 |
8. 기업과 생산기술, 총생산, 한계생산, 평균생산 곡선, 한계기술대체율, 대체탄력성, 규모의 수익 (0) | 2018.04.29 |
6. 소비자 이론의 응용과 확장, 노동공급곡선, 라스파이레스지수, 파셰지수, 조세+소득보조와 소비자 잉여 (0) | 201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