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장실패모형
- 무차별곡선
- 콜옵션
- 유기농업
- 환경경제학
- 무이표이자율
- 금리스왑
- 스왑
- 공기업상식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시장실패
- 상식
- 일반상식
- 기업의이윤극대화
- 독점시장
- 시사상식
- 명령-통제접근법
- 기초상식
- 선물헷징
- 시장접근법
- 로컬푸드시스템
- 선도가격
- 과점시장
- 풋옵션
- 미시경제학
- 경제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전통적푸드시스템
- 선물계약
- 카르텔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세계 농업 정책 변화 정리 본문
세계 정책 (계속 반복 중,,,)
○농가 교역조건:
* 정부개입으로 잉여가 줄어들고 부채가 상승, 교역조건 악화→ 재투자X
* 도농간의 성장격차(공업→ 자연의 제약X, 토지의 제약X, 농업과의 생산격차↑)
* 농업- 자연력에 제약(제한), 유기물 생산(시간이 오래 걸림), 고령화된 농업인력
① 가격정책(가격지지정책)
생산비 보조정책 - 1세대
가격지지정책의 부정적 효과
* 공급과잉, 자원의 비효율적 생산, 배분
* 적자(재정적자), 재고문제
* 생산구조 왜곡 초래(쏠림현상)
②구조정책
대규모 영농을 중심으로 운영→ 규모의 경제, 소득↑(도농간 소득격차↓) - 2세대
부정적 효과
* 막대한 비용, 긴 시간
* 기대만큼 대규모 영농 육성X, 농지 임대차 활성화(농지가격이 비싸기 때문), 농지 유동화를 통한 규모 확대에도 한계(가격지지정책과 같은 보호정책을 할 수 록 구조정책을 시행하기 어려움- 딜레마)
* 이농 장려로 인해 농업 인구 급속히 감소, 농촌 공동화 현상
UR협정(GATT 8회) : 공정한 무역, 보조금 줄이고 가격지지정책X
→ WTO(국제 무역기구) 출범
③지역정책 (직불제, 지역균형정책)
대규모 영농뿐만 아니라 소농도 함께 지원 - 3세대
★조건 불리지역 특별 대책: 직접 지불제도 확산(의무사항 이행시)
[농업의 공익적 기능 중시] : 경관 보전, 친환경 농사,
보편적이고 공익적인 복지정책 중심의 접근이 더 효과적...
→ 저투입 농업: 지속가능한 농업, 친환경 농업
+ 지역균형정책(농업소득 + 농외소득 = 농가소득)→ 도농간의 격차 완화...
(중간 예상문제)
★1. 농업의 공익적 기능? [농업과 농촌= 공공재? why? 시장거래X, 정부의 개입O]
→ 홍수조절, 환경보전, 수자원 확보, 아름다운 경관 및 전통문화 보전, 휴양 및 레저공간 제공기능 등 연간 40조원 가치,,
농업의 다원적 기능→ 식량안보, 환경보전, 사회문화적기능, 식품안전성기능, 경제기능
비교역적 기능→ 비가역적: 농지가 다른 용도로 사용되면 다시 농지로 복원되지 못함
★2. 세계 각국의 농정에서 가격지지정책과 구조조정정책이 퇴조하고 있다. 반면 농업의 공익적 가치가 중요시 되고, 그리고 WTO체제하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정책이 등장함으로써 예상되는 문제는?
→ 가격지지정책, 보조정책이 제약을 받으면서 농가의 소득이 감소하여 직불제가 시행하게 되고, 직불제만으로는 소득이 증가하기 어려워 지역균형정책을통해 농외소득도 증가하게 되어 도농간의 격차가 완화될 것이다.
'식품자원경제학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진 농업국 스위스 농업과 농정, 직불제, 농업의 다원적 기능 (1) | 2018.04.16 |
---|---|
보호주의 GATT체제 UR협정 WTO출범 (0) | 2018.04.10 |
푸드 시스템과 농업, 농업경제학, 생산경제학, 농업경영학 (0) | 2018.04.10 |
Local food 유기농업, GAP 농산물, 친환경 농산물 (0) | 2018.04.10 |
전통적 푸드 시스템, 로컬 푸드 시스템 비교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