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유기농업
- 무차별곡선
- 미시경제학
- 무이표이자율
- 로컬푸드시스템
- 상식
- 과점시장
- 금리스왑
- 시사상식
- 시장실패모형
- 명령-통제접근법
- 선물계약
- 시장실패
- 환경경제학
- 선물헷징
- 기초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공기업상식
- 선도가격
- 시장접근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풋옵션
- 콜옵션
- 경제상식
- 스왑
- 독점시장
- 카르텔
- 전통적푸드시스템
- 기업의이윤극대화
- 일반상식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3. 시장 실패 모형 (Modeling Market Failure) 환경 질의 공공재적 특성, 비경합성, 비배제성 본문
3. 시장 실패 모형 (Modeling Market Failure) 환경 질의 공공재적 특성, 비경합성, 비배제성
bloger_hwan 2018. 4. 15. 05:43Modeling Market Failure(시장 실패 모형)
시장 → 보이지 않는 손 : 소비자들과 기업들이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결정을 하도록 나타낸다.
* 지속적인 공해 → 경제적 활동을 통해 생산된 잔류물이 어떻게 천연자원에 피해를 주는지 알아야 함.
* 시장이 환경오염에 반응이 X → 고전적인 시장결과를 왜곡시키는 시장실패
→ 정부가 개입 : 환경 정책을 통해 인센티브 복구,,,
① 환경 질의 공공재적 특성에 기초
② 시장 인센티브가 생산이나 소비와 관련된 오염의 효과를 어떻게 포착하지 못하는지 → 외부성 이론
★ 환경문제 = 시장실패
비효율적 시장상황 발생 → 총체적으로 시장실패
① 불완전한 경쟁 ② 불완전한 정보 ③ 공공재 및 외부 효과
☞ 환경문제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먼저 공공재 이론(Theory of Public goods ) : 시장이 환경 질로 정의 될 때, 시장 실패의 근원은 환경 질이 공익(공공재) 라는 것이다.
둘째 외부 효과 이론(Theory of Externality) : 시장이 생산이나 소비가 환경적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정의 될 때, 시장 실패는 외부적인 특성에 기인한다.
→ 불완전한 정보에 의해 시장실패가 악화된다.
★ 환경 질 = 공공재
공공재적 특성 : 비경합성(Nonrivalness),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 비경합성 : 소비와 관련된 편익을 분할할 수 없다는 개념 → 상품 소비에서 또다른 개인 공유의 한계비용(MC)=0 이다.
(공공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돈을 지불하지 않는 사람이 그 재화나 서비스의 혜택을 보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 비배제성 : 상품의 소비 이익에대해 다른 사람들이 공유한는 것을 막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개념.
(어떤 사람이 먼저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했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소비를 못하게 되지는 않는 특징)
공공재의 적절한 예 : 환경 질이다.(environmental quality)
★ 환경 질을 고려한 공공재 시장 모형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의특성이 시장 인센티브의 변동효과를 막기 때문에 공공재는 시장 실패를 초래한다.
- 공공재 시장의 할당 효율(Allocative Efficiency in a Public Goods Market)
예를 들어 대기질은 "SO2(아황산 가스)" 배출에서 허용되는 오염 수준으로 정의,,
① 대기 질을 위한 시장 공급
→ 각 생산자는 서로 다른 가격 수준에서 다양한 저감을 기꺼이 제공할 수 있다.
생산 결정 집합 → 공급곡선 → Market Supply : P= 4 + 0.75Q
②대기 질을 위한 시장 수요
→ 일반적인 시장수요에서 개별 소비자들의 욕구를 수평적으로 합하여 파악할 수 있었으나 공공재 시장에서는 각 수량에 대해 지불할 의향(willing to pay)을 수직적으로 합산하여 시장가격(P)와 가능한 모든시장 수량(Q)을 결정함으로써 수요함수를 도출한다.
(Demand 스펠링이 사진에 틀렸네요,,, 민망,,,)
→ WTP(willing to pay)에 대한 응답은 각각 소비자1→ demand 1, 소비자2→ demand 2의 그래프가 나오는데 수요곡선 d1 + d2는 두 소비자의 수요곡선 d1과 d2의 같은 수량에 대한 개별 가격 반응의 수직 합계와 같다.
③ 환경 질 시장의 균형 (Equilibrium tn the Air Quality Market)
- 균형상태 : 시장공급 = 시장수요(At equilibrium: Market Supply = Market demand)
Q(수량), P = 25-0.3Qd(수요함수), P=4+0.75Qs(공급함수) → Qd=Qs를 이용하여 균형가격과 균형 수량을 찾는다 → Qe = 20, Pe = 19
④ 의미평가 (Assessing the Implications)
Pe와 Qe를 결정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적 수준이 0(오염 전혀X)이 아니라는 것 → 오염을 100% 줄이기 위해서는 엄청난 기회비용이 발생하여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최적 수준이 아니고, 환경에서 모든 오염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도 않음.
→ 균형가격 : 19, 균형수량 : 20에서 실질적으로 효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단, 최적의 오염 수준은 0이 아니다,,,
⑤ 해결책 : 정부의 개입 (The solution : Government Intervention)
무임승차와 선호의 비보존(Free-ridetship and nonrevelation of preferences) 딜레마에 대응하는 일반저긴 수단은 공공재의 직접적인 공급이다. + 환경을 담당하는 정부기관들....
다음은 외부 효과에 대해 ~
'환경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환경문제에 대한 경제적 해법 : 시장접근 - 오염부담금. 피구세. (0) | 2018.06.11 |
---|---|
4.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 해결책 : 명령, 통제 접근, 비용효율성 조사 (0) | 2018.04.16 |
4.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 해결책 : 명령-통제 접근, 환경 기준 (2) | 2018.04.16 |
3.시장 실패 모형(Modeling Market Failure), 시장 실패 분석, 코우즈 정리, 해결책 (0) | 2018.04.15 |
3.시장실패 모형(Modeling Market Failure) 외부성 이론, 외부효과 (2) | 2018.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