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전통적푸드시스템
- 과점시장
- 시장접근법
- 유기농업
- 카르텔
- 선물헷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콜옵션
- 경제상식
- 무차별곡선
- 풋옵션
- 선도가격
- 기업의이윤극대화
- 미시경제학
- 시장실패모형
- 환경경제학
- 공기업상식
- 독점시장
- 시장실패
- 로컬푸드시스템
- 무이표이자율
- 기초상식
- 명령-통제접근법
- 금리스왑
- 스왑
- 상식
- 일반상식
- 선물계약
- 시사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경제적 지대, 생산요소의 가격과 소득의 분배. 본문
★전통적 의미에서의 지대
- 지대 : 공급이 고정된(완전 비탄력적) 생산요소의 사용에 대한 보수이다.
→ 가격은 전적으로 수요측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토지 단일세 주장" by 미국 경제학자 조지는 운 좋게 많은 토지를 보유한 사람에게 모든 조세부담을 지울것을 주장하고, 이렇게 하더라도 토지의 공급량이 줄어드는 결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한다.
★경제적 지대와 준지대
- 경제적 지대 : 생산요소의 기회비용을 초과하여 추가로 지불되는 부분이다.
- 전용수입 : 현재 고용되어 있는 양만큼의 노동을 여기에 묶어두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금액 즉, 기회비용이다.
따라서 경제적 지대는 생산요소의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추가로 발생하는 소득이라고 볼 수 있다.
-준지대 : 단기간 동안 공급이 고정되어 있는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보수이다.
준지대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DEBC는 현재 고용된 고정투입요소에 대한 기회비용이고, EP0AB는 이 기업의 경제적 이윤이다. 따라서 이윤은 (-)가 될 수도 있으나 준지대가 (-)가 되는 경우는 없다. 준지대가 (-)이면 그 기업은 단기라도 문을 닫는다.
★★생산요소의 가격과 소득의 분배
- 한계생산성과 분배의 몫
"한계생산성에 입각한 분배 이론" : 각 생산요소는 그것이 고용되어 있는 기업의 수입을 증가시켜주는 부분만큼을 그 보수로 받는다. (w = VMPL)
① 노동과 자본의 상대적 몫
② 생산요소 사이의 대체탄력성과 상대적 몫
예를 들어, σ=0.5라면, 이는 생산요소 가격비율(w/v)이 1% 상승하면 생산요소투입비율(K/L)이 0.5%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동의 상대가격이 상승함에따라 노동의 상대적 몫이 더 크게 된다.
* 대체탄력성이 1보다 크냐 작으냐에 따라 생산요소 소득의 상대적 몫(wL/vK)의 변화가 달라진다.
대체탄력성이 1보다 클 경우, w/v가 상승함에 따라 L을 K로 대체하기 쉽다.(노동의 상대적 몫이 더 작아짐)
즉, 대체탄력성이 클 수록 노동의 상대가격이 올라도 자본으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콥-더글라스 소득 몫
-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의 경우, 생산요소의 상대가격이 아무리 변화해도 분배의 상대적인 몫에 아무런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 대체탄력성이 1이기 때문이다.
①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의 분배의 몫
을 대입한다.
로 항상 일정하다.
② 의 소득 몫
를 대입한다.
(노동의 소득이 국민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자본의 소득이 국민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 한계생산성 이론의 문제점
- 자본의 성격
- 내적 적합성
- 현실 설명력 부족이 있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후생경제학, 생산의 효율성, 교환의 효율성 (0) | 2018.06.14 |
---|---|
17. 일반균형이론, 에지워스상자, 파레토효율성, 왈라스균형 (0) | 2018.06.13 |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이윤극대화. (0) | 2018.06.13 |
14. 게임이론, 과점행동과 게임이론, 용의자의 딜레마와 카르텔. (3) | 2018.06.10 |
13. 과점시장, 불완전 담합, 완전한 담합(카르텔), 굴절 수요곡선의 모형 (1) | 201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