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무차별곡선
- 기업의이윤극대화
- 명령-통제접근법
- 시사상식
- 공기업상식
- 기초상식
- 금리스왑
- 시장접근법
- 선물헷징
- 경제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카르텔
- 시장실패
- 상식
- 무이표이자율
- 과점시장
- 미시경제학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환경경제학
- 시장실패모형
- 선도가격
- 스왑
- 일반상식
- 유기농업
- 콜옵션
- 독점시장
- 전통적푸드시스템
- 풋옵션
- 선물계약
- 로컬푸드시스템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4. 게임이론, 과점행동과 게임이론, 용의자의 딜레마와 카르텔. 본문
14. 게임이론
★과점행동과 게임이론
→ 과점시장에서는 한 기업의 이윤은 다른 기업이 어떤 시장행동을 취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상호의존성때문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과점시장에서 게임이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전에 게임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게임이론
- 게임 :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연관 관계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으나 어느 누구도 그 결과를 마음대로 좌지우지할 수 없는 경쟁적 상황이다.
- 게임이론 : 전략적 상황에 처한 경제 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이론틀로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하면서 의사결정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 게임의 구성 요소
① 경기자 : 각 기업들을 의미한다.
② 전략 :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다.
③ 보수 : 어떤 전략을 취했을 때, 기업에게 돌아오는 목표의 결과이다.
④ 정보 : 경기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 시점에서 게임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 우월전략균형
① 기업A가 a2 전략을 선택할 경우,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쓰는지에 관계없이 상대보다 더 큰 보수를 얻는 것을 우월전략이라고 한다.
② 만약 각 경기자에게 하나씩의 우월전략이 존재한다면 각 경기자는 당연히 우월전략을 선택할 것이고 이와 같이 우월전략의 짝을 우월전략균형이라고 부른다.
★용의자의 딜레마
→ 공동으로 어떤 범죄를 저질렀다고 추정되는 두 용의자를 검사가 심문하는데 두 용의자를 완전 격리상태에서 따로 심문을 진행한다.
그리고 두 용의자에게 각각 제의를 이렇게 한다.
① 둘 다 순순히 자백하면 가벼운 형벌인 징역 3년을 구형하겠다.
② 동료는 자백했는데 당신만 부인하면 동료는 방면, 당신은 최고형인 15년에 구형하겠다.
③ 둘 다 부인하면 이 범죄와는 관계없이 과거의 잘못을 구실로 징역 6개월을 구형하겠다.
→ 그럼 각 용의자는 자백과 부인 두가지 전략 중에서 선택하게 되는데, 두 사람 모두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 모른 채 자신의 전략을 선택해야하는 난처한 입장이다.
상대방이 부인을 하던 자백을 하던 나는 자백이 유리한 상황이 된다.
따라서 자백을 하는 것이 모두에게 "우월전략"이므로 둘 다 자백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둘 다 부인을 함으로써 6개월만 구형을 받을 기회는 잃어버리게 된다.
이런 난처한 상황을 용의자의 딜레마라고 한다.
그렇다면 용의자의 딜레마와 독점시장의 카르텔을 연관지어보자.
★★용의자의 딜레마와 카르텔의 연관
기업A, 기업B가 카르텔 협정 하에 있는 상황이다.
① 두 기업 모두 카르텔 협정을 준수하면 각 기업이 8억원씩의 이윤을 얻는다.
② 두 기업 모두 카르텔 협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이윤이 4억원으로 감소한다.
③ 한 기업은 준수, 다른 기업은 개별 행동을 하면 준수기업은 1억원, 개별행동기업은 10억원의 이윤을 얻는다.
④ 부인 : 협정준수, 자백 : 개별 행동을 나타낸다.
여기서 우월전략은 각 기업이 협정을 준수하지 않고 개별 행동(위반)을 하는 것이다. → 우월전략 균형은 카르텔이 붕괴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각 기업이 서로 협조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협정을 준수해 이 균형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이윤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협조관계가 이루어지기 힘들어 덜 바람직한 상황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게임이론의 틀을 빌려 생각해 보면, 어떤 이유에서 카르텔이 내재적 불안정성을 갖게 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경제적 지대, 생산요소의 가격과 소득의 분배. (2) | 2018.06.13 |
---|---|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이윤극대화. (0) | 2018.06.13 |
13. 과점시장, 불완전 담합, 완전한 담합(카르텔), 굴절 수요곡선의 모형 (1) | 2018.06.09 |
13. 과점시장, 꾸르노 모형, 베르뜨랑 모형, 챔버린 모형. (1) | 2018.06.08 |
13. 과점시장, 기업간의 상호의존성과 예측적 반응 (0)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