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카르텔
- 선물헷징
- 전통적푸드시스템
- 선도가격
- 시장실패모형
- 기업의이윤극대화
- 환경경제학
- 독점시장
- 상식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시사상식
- 금리스왑
- 풋옵션
- 미시경제학
- 스왑
- 기초상식
- 시장접근법
- 무차별곡선
- 일반상식
- 무이표이자율
- 선물계약
- 과점시장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경제상식
- 로컬푸드시스템
- 공기업상식
- 명령-통제접근법
- 시장실패
- 콜옵션
- 유기농업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이윤극대화. 본문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이번장에서는 완전경쟁시장이라는 가정하에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 파생수요 :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는 상품에 대한 수요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파생수요의 성격을 갖는다.
→ 어떤 생산요소의 가격이 떨어지면 기업은 그 생산 요소에 대한 수요량을 늘린다.
① 상품 생산할 때, 생산요소의 가격이 떨이지면 상대적으로 싸진 생산요소를 많이 사용하면서 생산비용을 절감한다.
② 생산비용 절감 →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여 팔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생산요소의 수요가 증가한다.
- 이윤 극대화 조건
① i번째 생산요소 가격 : Wi, 한계생산 : MPi 일때, 비용극소화 조건은 아래와 같다.
②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은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생산요소의 조합을 선택할 것이다.
위 식을 뒤집어도 별 지장없으므로
여기서 Wi : i번째 생산요소를 1단위 추가 고용비용, MPi : 추가된 1단위 생산요소의 상품 생산량 증가분이다.
이것은 1단위 추가로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이므로 MC(한계생산비용)이다.
③ 이윤 극대화 추구 기업은 MC = MR을 만족하는 산출량을 선택한다.
이것은 생산요소 1단위 추가 고용에 드는 비용 = 추가 고용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같다는 의미이다.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① 가변 투입요소가 하나인 경우 → L(노동량)
임금률이 w이고, 한계생산이 MPL로 주어졌을 때, 최적고용수준은 이다.
이때 MR은 완전경쟁시장하에서 P=MC이고 MR=MC이므로 P=MR이다. → 노동의 한계생산가치 VMPL이다.
② 가변 투입요소가 여럿인 경우 → L(노동량), K(자본), w(임금), v(자본의 가격)
- 이윤극대화
→ 한계생산가치는 한계요소비용(완전경쟁하에서 요소의 가격)이다.
① 임금 하락(w0 → w')하면 상품의 가격이 하락, 모든 기업이 노동의 고용을 늘려 산출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d'곡선이 새로운 수요곡선이 된다. (R이 S로 이동하지 못하고 T로 이동한다.)
② 개별기업의 수요곡선 R과 T 점에 상응하는 시장전체의 노동수요곡선 D가 도출된다.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 다른 생산요소와의 대체 가능성이 높을 수록 커진다.
-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클 수록 커진다.
- 다른 생산요소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클 수록 커진다.
- 고려되는 기간의 길이가 길 수록 커진다.
★생산요소시장의 공급곡선
★생산요소의 고용량과 가격의 결정
- 생산요소 시장의 균형
① 시장에서 균형가격(w*)이 결정되면 완전경쟁 하의 개별기업은 이 가격에서 원하는대로 노동을 구입할 수 있음 → 이 기업이 직면하는 노동의 공급곡선은 w* 높이의 수평선 s.
② w*는 이 고용수준에서 수요곡선의 높이와 일치 → w = MPL x P = VMPL(한계생산가치)
→ 각 생산요소는 생산에 기여한 가치만큼 보수를 받게 된다.
이를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의 한계생산성 이론"이라고 한다.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일반균형이론, 에지워스상자, 파레토효율성, 왈라스균형 (0) | 2018.06.13 |
---|---|
15.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경제적 지대, 생산요소의 가격과 소득의 분배. (2) | 2018.06.13 |
14. 게임이론, 과점행동과 게임이론, 용의자의 딜레마와 카르텔. (3) | 2018.06.10 |
13. 과점시장, 불완전 담합, 완전한 담합(카르텔), 굴절 수요곡선의 모형 (1) | 2018.06.09 |
13. 과점시장, 꾸르노 모형, 베르뜨랑 모형, 챔버린 모형. (1)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