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금리스왑
- 선물헷징
- 선물계약
- 명령-통제접근법
- 로컬푸드시스템
- 기초상식
- 유기농업
- 무차별곡선
- 선도가격
- 전통적푸드시스템
- 미시경제학
- 시장실패모형
- 과점시장
- 경제상식
- 카르텔
- 풋옵션
- 기업의이윤극대화
- 콜옵션
- 시장접근법
- 시사상식
- 환경경제학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공기업상식
- 무이표이자율
- 스왑
- 상식
- 독점시장
- 시장실패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일반상식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4. 게임이론 ★과점행동과 게임이론→ 과점시장에서는 한 기업의 이윤은 다른 기업이 어떤 시장행동을 취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상호의존성때문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과점시장에서 게임이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전에 게임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자.★게임이론- 게임 :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연관 관계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으나 어느 누구도 그 결과를 마음대로 좌지우지할 수 없는 경쟁적 상황이다. - 게임이론 : 전략적 상황에 처한 경제 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이론틀로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하면서 의사결정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게임의 구성 요소① 경기자 : 각 기업들을 의미한다.② 전략 :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다.③ 보수 : 어떤 전략을 취했을 때, ..
★불완전(암묵적) 담합→ 상대방의 반응에 대한 추측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량과 가격을 정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자칫하면 가격전쟁이 기업 모두에게 큰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점시장에서는 합법, 비합법적인 방법으로 또는 명백하게 합의되거나 암묵적인 방법으로 어떤 협조체제를 구축하는데 그중 비합법적인 협조체제를 담합이라고 한다.☆가격선도 모형→ 하나의 기업이 가격을 선도하고 나머지 기업들은 이를 그대로 다름으로써 암묵적인 협조체제를 유지한다는 내용의 모형이다. (대기업이 선도자의 역할, 중소기업이 추종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따라서 압도적으로 규모가 큰 하나의 기업과 몇개의 작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예로는 철강산업에서의 포항제철과 다른 몇개의 군소기업이 ..
★예측적 반응에 입각한 모형 : 독자적 행동이 유형에 속하는 모형들은 각 기업이 상대방의 반응에 대해 추측한 결과에 기초해 독자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본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측적 반응(CV) : 한 기업이 산출량 (Qi)이나 가격(Pi)을 변화시킬 때, 경쟁기업이 그들의 산출량(Qi)과 가격(Pi)을 어떻게 변화시켜 반응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이다. (산출량의 예측적 반응)(가격의 예측적 반응)→ 추측의 주체는 i번째 기업 : 변화시키고자 하는 기업이다.CVq는 i번째 기업이 산출량을 △Qi만큼 변화시킬 때, j번째 기업이 산출량을 얼만큼 변화시킬 것인지.CVp는 i번째 기업이 가격을 △Pi만큼 변화시킬 때, j번째 기업이 △Pj의 가격 변화로 대응할 것이라 추측하는 것이다.→ 만약 i번째 기업..
13. 과점시장소수의 공급자가 존재하는 과점시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과점이란?완전경쟁과 독점시장의 중간적 형태로 현실 시장형태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론보다는 여러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가격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각 기업의 시장점유율과 수익에 큰 차이가 난다. ★기업간의 상호의존성과 예측적 반응 - 과점시장 → 생산자들이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기에 충분할 만큼의 작은 수이다.* 복점 : 과점 중 가장 적은 수 (2개)의 기업이 존재한다.* 동질(순수)과점 : 생산하는 상품의 질이 모두 동질적이다.* 차별과점 : 상품의 질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제품의 차별화까지 고려하기는 힘들다. (모든 생산자의 상품이 동질적인 경우를 전제) - 기업간의 상호의존성 → 한 기업의 행동..
★그 밖의 판매전략독점기업이 이윤을 더 크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판매전략은 가격차별에 국한 된 것이 아니고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① 이부가격 설정→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특정 상품을 사용할 권리를 사게 한 다음 추가적인 가격을 내게 만드는 방식으로 콘도나 골프장 회원권, 서울랜드 입장권, 휴대폰 기본요금 등이 있다.② 묶어팔기→ 여러 상품을 한꺼번에 묶어 판매하는 전략으로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한번에 묶어 파는 것과 안경과 렌즈를 예로 들 수 있다.③ 끼워팔기 → 하나의 상품을 팔면서 다른 상품을 끼워서 파는 전략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웹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윈도우에 끼워서 판매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경로우대증의 진실 (쉬어가는 코너)→ 노년층은 대체..
★가격차별→ 같은 상품을 독점력을 이용해 여러가지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면 전력요금(일반용과 산업용), 카드 소지자 할인, 조조할인 등이 있다.☆가격차별의 조건① 소비자를 몇개의 그룹으로 구분 가능하다. (소비자를 특성에 따라 두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② 소비자 유형을 쉽게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가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 알아낼 수 있어야 한다.)③ 전매가 불가능하다. (주로 서비스 시장-전화, 전기, 영화 등이 있고, 한계비용이 높아서 가격이 다른 것과 구분되어야 한다.) ☆가격차별하의 가격과 산출량 → 수요의 특성이 다른 2개의 시장 A, B로 분리되는 가격차별을 고려해보자.(하나의 독점기업, 두개의 시장인 경우.)① 차별적 독점자의 이윤 극대화 조건은로 ..
★농산물 산지유통이란? → 도매시장 중심의 거래에서 요즘은 소매점과의 직거래로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산지에서 직구매하는 수직적 거래관계로 전환되고 있다. (산지유통의 중심으로는 지역농협,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등이 있는데 그중 가장 중심이 지역농협이다. 하지만 대규모 자본에 비해 턱없이 적은 자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계획생산-계획판매 체제 구축 → 안정적인 공급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다 규모화가 되어야 한다. 연중 공급능력 확보를 위한 규모화를 위하여 연합사업의 활성화와 광역합병을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산지유통사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농가 조직화이다. 농가와 수직적 통합관계가 구축되면 생산이력 등 숨은 정보창출이 용이하고, 품질관리가 효..
10. 주식옵션의 기본 성격 초반에 옵션의 기초적인 정보에 대해서 배웠었는데, 이번 10장에서는 주식옵션의 기본적인 성격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그 중에서 만기일이 정해져 있는 유러피언 옵션을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옵션 가격의 상한선과 하한선 - 옵션 가치의 상·하한선을 도출해 봅시다. (단, 상·하한선을 상회하거나 하회하는 경우 차익거래기회 발생!) ☆무배당 주식에 대한 콜옵션 가치의 하한선 상한선은 , 하한선은 이다. 예제10-1) 콜옵션 가격이 너무 낮을 때. c(유러피안 콜옵션 가치) = 3, S0 = 20, T =1, r = 10%, K(행사가격) = 18, D(배당금의 현재가치) = 0(무배당)이다. 위 콜옵션의 하한선은 이다. - 차익거래전략? * 현재 : 콜옵션 1개에 $3에 매입한..
- 2012년 도매시장 가격 폭등락 완화 대안으로 정가·수의매매가 도입되었다. → 농산물 가격이 폭등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산지에서 농산물을 출하하기 전, 미리 판매 금액과 물량을 정하고 거래하는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무엇보다 정가·수의 매매의 장점은 "계획 판매·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목표치를 채우기 위한 형식적 정가 수의매매는 개선되어야 한다!!★정가매매, 수의매매 - 정가매매란 가격을 정하고 거래하는 방식으로 출하자가 사전에 판매 물량·가격을 도매시장법인에 제시하면 경매사가 구매자에게 구매 의사를 물어 거래를 확정한다.- 수의매매란 상대를 정하고 거래하는 방식으로 도매시장법인이 구매자와 1대 1로 협의해 가격·수량 등의 거래조건을 정한다.→ 하지만 경매제에 익숙해져 온 도매시장법인..
★도매시장농산물 유통경로에는 생산자 → 산지유통인 → 도매시장법인 → 중도매인 → 하매인 → 소매상 → 소비자가 있다.그 중 도매시장에는 도매시장법인과 중도매인이 있는데, 먼저 도매시장법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도매시장법인 : 출하자로부터 농수산물을 수탁받아서 중도매인 혹은 매매참가자에게 판매하여 주는 법인이다. 즉, 농수산물을 수집하여 경매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이러한 행위의 대가로 출하자로부터 일정율의 상장수수료를 받아서 운영이 된다.- 중도매인 : 도매시장에 상장된 농산물을 경매, 입찰 등을 통해서 구입하고 소매단계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간상인이다. 중도매인은 도매시장에서 선별, 평가, 보관과 가공, 대금결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즉, 중개기능과 도매기능을 동시에 하며 중개수수료를 받고 소매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