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시장실패
- 공기업상식
- 시사상식
- 독점시장
- 과점시장
- 환경경제학
- 유기농업
- 풋옵션
- 기업의이윤극대화
- 로컬푸드시스템
- 시장접근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명령-통제접근법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상식
- 경제상식
- 무차별곡선
- 전통적푸드시스템
- 카르텔
- 선도가격
- 일반상식
- 스왑
- 무이표이자율
- 선물헷징
- 시장실패모형
- 기초상식
- 미시경제학
- 금리스왑
- 선물계약
- 콜옵션
Archives
- Today
- Total
경제학(전공) 연습장
1장. 비용·편익분석의 기본개념 본문
1장. 비용·편익분석의 기본개념
※ 정부지출 = 부족한 자원(예산)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 (by 정부)
→ 공공투자사업 선정 = 충분한 분석 + 현명한 선택이 요구되어짐.
★ 비용·편익분석 → 공공투자사업의 타당한 분석,,
☆ 비용·편익분석의 특징
① 개별정부투자사업을 평가하는 경제적 분석
② 사회적 관점/ 국민경제 전체의 관점에서 비용과 편익을 파악
→ 편익 : 특정 사업의 국민생산(GDP)에 대한 공헌, 비용 : 국가자원의 낭비(자원의 기회비용)
③ 공공사업에서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는 모든 비용과 편익을 장기적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평가
④ 현실적 측면을 고려한 실무적인 분석방법
⑤ 객관적인 분석방법
☆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오해
① 무리한 계량화로 인한 불신?
→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측정, 측정하지 못하는 것은 최선의 선택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기법
② 규범적 접근방법이라 무용지물?
→ 정치·사회적 제약들을 적절히 고려하면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대안 제시
③ 만병통치약?
→ 특정사업에서 비용 < 편익 이면, 국민경제에 공헌하게 된다는 가정에 불과
'공공투자분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비용·편익의 유형 (0) | 2018.10.13 |
---|---|
3장. 공공부문 의사결정의 기준 (2) (1) | 2018.10.07 |
3장. 공공부문 의사결정의 기준 (0) | 2018.09.29 |
2-2. 공공경제하의 정책판단기준 2-3.소비자잉여와 사업편익 (1) | 2018.09.29 |
2장. 비용·편익분석의 기초이론, 2-1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개입 (0) | 2018.09.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