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명령-통제접근법
- 스왑
- 독점시장
- 시장접근법
- 과점시장
- 환경경제학
- 금리스왑
- 시장실패모형
- 일반상식
- 공기업상식
- 기업의이윤극대화
- 풋옵션
- 기초상식
- 경제상식
- 콜옵션
- 로컬푸드시스템
- 전통적푸드시스템
- 카르텔
- 시장실패
- 선도가격
- 무차별곡선
- 미시경제학
- 선물헷징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유기농업
- 시사상식
- 선물계약
- 무이표이자율
- 상식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
경제학(전공) 연습장
4.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 해결책 : 명령- 통제 접근(Conventional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 The Command-and-Control Approach)→ 환경시장 실패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기존 정책 해결책을 사용하는 것을 분석 ① 배분 효율성 사용(Allocative efficiency)② 명령 및 통제 접근방식 사용(Command-and-Control approach)③ 명령 및 통제 접근법의 비용 효율성 조사(the cost-effectiveness of the command-and-control approach) ★ 환경 기준의 종류(Type of Environmental Standards)① 주변 기준(ambient standard) : 환경..
★ 시장 실패 분석앞서 본 내용을 토대로 공공재 문제와 외무성 모델을 모두 고려한다면, 시장 실패의 원인은 모든 환경문제의 근원인 재산권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재산권의 부재 (The Absence of Property Rights) 재산권의 분배가 외부상황에서도 효과적인 해결책 제공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코우즈 정리 (The Coase Theorem)→ 외부성이 존재하더라도 이해당사자들 간의 자유로운 협상을 통해 정부 개입 없이도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할 수 있다는 것조건) ① 거래는 비용이 들지 않는다. ② 손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재산권의 할당이 어떻게 효율을 회복시키는가?① 정유공장이 강에 화학물질을 방출할 권리② 개인들이 강을 여가용으로 사용할 권리이렇게 나누어서 알아보자▶..
★ 환경문제 : 외부효과 (Environmental Problems : Externalities)시장을 환경의 질 또는 오염방지로 정의하는 대신, 해당 시장을 생산 또는 소비가 시장 거래 외의 환경적 피해를 유발하는 상품으로 정의한다.→ 외부성 이론의 기초 (Basic of Externality Theory)시장실패 → 제 3자가 상품의 생산이나 소비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발생★ 외부효과(시장 거래 밖에서 발생하는 파급 효과) 공기, 물 또는 땅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며, 모두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긍정적 외부효과 : 제 3자에게 이익을 주는 경우. (쓰레기 오염 방지 장비 시장 : 배기가스 정화, 청정공기 제공)→ 부정적 외부효과 : 제 3자에게 피해를 유발하는 경우. (항공 운송수단 : ..
Modeling Market Failure(시장 실패 모형) 시장 → 보이지 않는 손 : 소비자들과 기업들이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결정을 하도록 나타낸다.* 지속적인 공해 → 경제적 활동을 통해 생산된 잔류물이 어떻게 천연자원에 피해를 주는지 알아야 함.* 시장이 환경오염에 반응이 X → 고전적인 시장결과를 왜곡시키는 시장실패→ 정부가 개입 : 환경 정책을 통해 인센티브 복구,,,① 환경 질의 공공재적 특성에 기초② 시장 인센티브가 생산이나 소비와 관련된 오염의 효과를 어떻게 포착하지 못하는지 → 외부성 이론 ★ 환경문제 = 시장실패비효율적 시장상황 발생 → 총체적으로 시장실패① 불완전한 경쟁 ② 불완전한 정보 ③ 공공재 및 외부 효과☞ 환경문제는 두가지로 나뉘는데먼저 공공재 이론(Theory of ..
★옵션 손익 그래프 풋 옵션과 콜 옵션은 각각 다른 파생상품임을 기억해두자!!!(풋 옵션을 사고, 팔고/ 콜 옵션을 사고, 팔고 - 별개의 거래) + 옵션 프리미엄도 염두!!! Case 1) 현대차 (수출기업) 6월에 수출대금 1억$를 입금 → 풋 옵션 거래① 풋 옵션 살 때, (행사가격 = 1,200원, 옵션 프리미엄 10원/$) - 화질 양해 바람,,1,200원에 팔 권리를 샀기 때문에 환율이 올라도 이득을 보지 못하고 옵션 프리미엄만큼 손해를 보게 된다. ② 풋 옵션 팔 때 환율이 떨어져도 행사가격 (1,200원)에 팔 권리를 팔았기 때문에 손실을 무한정 떠안게 됨.(이득을 보게되도 옵션 프리미엄 만큼만 봄) Case 2) SK원유 (수입기업) 6월에 수입대금 1억$를 지급해야함 ③ 콜 옵션 살 때..
선물옵션 시장론에서는 John C. Hull의 파생상품의 평가와 헷징전략이라는 교재를 사용해서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서론파생상품이란 무엇일까?①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위험 회피)② 투기를 위해(미래 시장의 방향을 예측)③ 차익거래 이익을 고정시키기 위해(무위험 차익거래)④ 거래비용 없이 투자의 본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스왑거래)⑤ 부채의 본질을 변화시키기 위해(변동금리 → 고정금리) 그전에 간단한 용어 정리부터 들어가 보자 ★ 선물계약 - 약정일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자산을 사거나 팔거나 하는 의무가 부여된 계약 포지션 - 롱 : 보유하고 있는 상태, 숏: 팔아 놓은 상태 (거래소 입장) 롱 포지션 → 매입포지션 / 숏 포지션 → 매도포지션(이때, 합의된 가격을 선물가격, 그리고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
★주가지수 선물*포트폴리오(주식 포트폴리오) : 주식투자를 할 때, 위험을 줄이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 · 주가지수 → 구성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변함에 따라 변한다. ★주식 포트폴리오의 헷징VA : 주식 포트폴리오의 현재가치VF : 선물 1계약의 현재가치 (= 지수 선물가격 x 달러배수)β : h* 와 비슷한 개념 → β : 2.0 인 포트폴리오가 β : 1.0인 포트폴리오 보다 시장변동에 대해서 2배 민감도 (2배의 선물계약)N* = β x VA/VF ex) ★★★★만기가 4개월인 선물계약을 이용, 3개월 동안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헷지하려는 상황(선물 1계약 = 지수 선물가격 x 250달러) S&P 500지수 = 1,000 → SS&P 500지수 선물가격 ..
★교차헷징 (대상자산과 헷징자산이 다를 때→ 베이시스 위험증가) ex) 항공사 → 제트연료의 미래 가격이 상승할 것을 우려.제트연로 선물계약이 없을 때, 난방유 선물(대체재)계약을 이용할 수 있다.· 유효가격 F1 + (S2* - F2) + (S2 - S2* 자산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베이시스)S*끼리 없애면 결국 S2 + (F1 - F2) ★헷지비율위험 노출 규모에 대한 선물 포지션 규모의 비율 교차헷징의 경우, 헷지 비율을 1.0으로 하는 것이 항상 최적은 X → 헷저는 헷지되는 포지션 가치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헷지비율을 선택해야 한다 → 최소분산 헷지비율 △S : 헷지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의 현물가격 S의 변화△F : 헷지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의 선물가격 F의 변화 h* = 최소분산 헷지비율 → △..
★매도헷지 사례(연습문제) (매도헷지 : 미래에 매각할 예정인 자산의 가격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 매도헷지에서의 베이시스 위험 ex)3/1 미국기업→ 7월말 5,000만엔 받을 예정 →(엔을 팔아서 달러로 받아야 하니까 매도 헷지)9월 만기 엔 선물가격: 1.2800(3월, 6월, 9월, 12월 인도월 중 7월과 가장 근접하고 뒤에 있는 9월 선택)선물 1계약 : 1,250만 엔 → 4계약(5,000만 엔)(선물가격과 현물가격 간 차이의 불확실성→ 베이시스 위험 발생) 헷징전략 1. 3/1 9월 만기 엔 선물을 1.2800 가격으로 4계약 매도 2. 7월 말에 엔화를 받을 때 계약을 마감 3/1 선물가격 : 1.2800 → F17월 마감 시 현물가격 : 1.2200→ S2, 선물가격 : 1.2250→ F..
★베이시스 = 헷징 대상자산의 현물가격 - 헷징에 이용된 기초자산의 선물가격즉, 헷징 대상자산과 선물의 기초자산이 같다면 선물 만기시 베이시스=0이다. *베이시스가 증가하면 강베이시스, 감소하면 약베이시스라고 한다 베이시스가 양(+)의 값을 갖는 그래프에서 S1: t1 시점에서의 현물가격 S2: t2 시점에서의 현물가격F1: t1 시점에서의 선물가격 F2: t2 시점에서의 선물가격b1 :t1 시점에서의 베이시스 b2 :t2 시점에서의 베이시스 라고 하자.ex) S1 : 2.5 달러, F1 : 2.2달러, S2 : 2달러, F2 : 1.9달러 일때,베이시스는 b1 = S1 - F1 = 0.3달러, b2 = S2 - F2 = 0.1달러이다. ◎ 헷저가 t2 시점에서 매도할 것을 미리 알고, t1 시점에서 선..
3장. 선물을 이용한 헷징전략 ★매도헷지→ 미래에 매각할 예정인 자산의 가격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ex) 5/15 : 원유생산업자 → 3개월뒤 원유 100만 배럴을 매도하는 선물계약.판매단가는 8/15 현물가격, (1계약 = 1,000 배럴)-원유의 현물가격: 배럴 당 80달러,-8월 만기 원유의 선물가격: 배럴 당 79달러 →매도포지션을 취해서 헷지를 할 것이다5/15: 8월 만기 원유 선물 1,000계약 매도 8/15: 매도포지션 마감→ 선물계약으로부터 얻는 손익을 고려하면 원유생산업자는 원유 매도가격을 79달러에 고정하여 헷지를 할 수 있다. 만약 8/15 원유의 현물가격이 배럴당 75달러일때, 배럴 당 (79$-75$=)4$씩 이익을 얻을 것이다. (4$ * 1,00만 배럴 = 400만 달러 이익..
보호주의 1단계- 보호관세 도입2단계- 관새정책 무기력→ 링크제, 수입할당제, 수입허가제 등 수입량을 규제하는 보호주의3단계- 정부가 농산물시장 직접 개입→ 공급과잉, 재고누적, 재정적자 부담 가중, 비효율적...4단계- 수출보조금 경쟁 확대 ↓보호주의→ 자유무역주의(UR협상→ WTO출범) : 직불제, 지역균형정책 등장 GATT체제 임시방편으로 만든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국제기구X→ 한시적이고 강제력 없는 국가간의 느슨한 협정)한계: 수출입 장벽 폐지로 공산품 중심으로 교역 확대, 농산물 보호주의 고수...(★농업 보호무역→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UR(우루과이 라운드)농업협정(GATT 제 8회)시장개방 분야(모든 농산물 시장의 관세화를 통해 개방한다는 원칙)방법: 이미 수입자유화 된 품목- 관세..
세계 정책 (계속 반복 중,,,) ○농가 교역조건: * 정부개입으로 잉여가 줄어들고 부채가 상승, 교역조건 악화→ 재투자X* 도농간의 성장격차(공업→ 자연의 제약X, 토지의 제약X, 농업과의 생산격차↑)* 농업- 자연력에 제약(제한), 유기물 생산(시간이 오래 걸림), 고령화된 농업인력 ① 가격정책(가격지지정책)생산비 보조정책 - 1세대가격지지정책의 부정적 효과* 공급과잉, 자원의 비효율적 생산, 배분* 적자(재정적자), 재고문제* 생산구조 왜곡 초래(쏠림현상) ②구조정책대규모 영농을 중심으로 운영→ 규모의 경제, 소득↑(도농간 소득격차↓) - 2세대부정적 효과* 막대한 비용, 긴 시간* 기대만큼 대규모 영농 육성X, 농지 임대차 활성화(농지가격이 비싸기 때문), 농지 유동화를 통한 규모 확대에도 한계(..
푸드 시스템과 농업(Food system and agriculture) 각 문명에 따라 다른 곡물문화가 발생함(맥시코- 옥수수 maize, 중국- 쌀 rice, 중동- 밀과 보리 wheat and barley)→ 곡물을 생산하는 능력(의식주가 충족되고 잉여 농산물을 생산할 여력): 기본적인 욕구(음식)이 충족되고 나니 예술, 종교, 정부가 발달하게 됨. ★ 푸드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고, 새로운 장점과 도전뿐 아니라 더욱 큰 다양성과 복잡성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우리는 변화의 추진력을되돌아보고,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생산자, 소비자, 농업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 과제를 향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농업경제학 [Major Topics in Agriculture Economics]기업이론, 마케팅, 조직..
Local food (유기 농업) →최소한의 농약, 비료 사용 (반드시 친환경적은 아니다, conventional food system에 비교적 친환경적) ○ 제철, 가가운 지역 얼굴 있는 먹거리- 신뢰성, 안정성 ○ 종자보존, 전통음식 다양성 보존 ○ 지역 식량계획 수립 ○ 지구 온난화 방지(친환경적) ∥ 지역 순환농업 시스템 (생산비 절감, 환경농업 촉진) ●소규모 가족농, 고령농 ● 로컬 푸드형 시장개척, 직거래 ● 다품종 소량생산, 소비자 요구 반영 ● 품질보장, 신뢰관계 확대 ex) 제철 꾸러미 사업 (공동체 지원 농업-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C.S.A.) ) ↑↓↑↓↑↓↑↓ (☜ 협력 및 보완) 시장지향형 상업농 ● 단작중심의 대농 ● 기존 유통시장 협력 ●..
전통(일반)적 푸드 시스템(Conventional food system) 상업적(효율성, 비용최소화, 이윤극대화) > 부작용 (인체, 자연환경에 위협) 곡물메이저: ex) 카길,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ADM), 콘아그라, 콘티넨탈 그레인, 루이 드레픽스, 벙기, 앙드레 (7대 곡물메이저 기업)세계 종자시장: ex) 카길, 몬산토(합작회사 르네센을 통해서 유전자 조작 종자를 공급)와 같은 세계 10대 기업 - 오랜 육종기술과 거대 자본을 앞세운 다국적 회사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음.. → 현재의 식량위기는 먹거리 양의 절대적 부족과 아울러 식량의 품질 또한 위협받고 있기 때문 ●유전자 조작식품으로부터의 위협 ●식량 생산단계에서부터의 위협 (생산량 극대화 →농약, 화학비료, 동물성 사료, 화학약품 등→토지,..
푸드 시스템(Food system) [농작, 농지문제, 재배, 포장, 운송, 마케팅, 소비, 식품폐기, 식품 연관 상품 등이 속한다] (Input: 비료, 농약 Output: 상품, 산출물) -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 위험이 있다 ●전통적 푸드 시스템(Conventional food system) 1) 규모의 경제> 최소비용, 최대수익> 수익극대화방법 -선진 농업국가 시행, but 인간의 존엄성 무시 (농약사용, 화학비료사용...> 환경과 인체에 악영향) 2)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 Ex) 하림 > 생닭, 사료, 치킨, 도축공장, 가공공장... -계열화를 통해서 독점력을 지닌다 •대규모 자본> 시장독점력, 가격경쟁력 ㅇ ●로컬 푸드 시스템(Local food sys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