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독점시장
- 상식
- 기업의이윤극대화
- 무이표이자율
- 콜옵션
- 로컬푸드시스템
- 시장실패모형
- 일반상식
- 선도가격
- 시사상식
- 전통적푸드시스템
- 명령-통제접근법
- 과점시장
- 식품자원경제학입문
- 경제상식
- 시장실패
- 스왑
- 금리스왑의가치평가
- 금리스왑
- 미시경제학
- 무차별곡선
- 풋옵션
- 유기농업
- 선물계약
- 기초상식
- 공기업상식
- 선물헷징
- 환경경제학
- 카르텔
- 시장접근법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
경제학(전공) 연습장
1.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의 설립요건과 혜택 ★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의 의의 영농조합법인의 목적은 농업경영을 협업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농산물을 공동출하하고, 가공, 수출 등을 통해 조합원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한 사업이다. 반면, 농업회사법인은 농업의 경영이나 농산물의 유통·가공·판매를 기업적으로 하려는 자나 농업인의 농작업을 대행하려는 자가 합명회사, 합자회사, 주식회사 혹은 유한회사의 형태로 설립하는 법인이다. ★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의 설립요건영농조합법인의 설립요건에는 농업인 또는 농업생산자 단체 5인 이상이 조합원으로 참여해야하며, 비농업인(조합법인에 생산자재공급, 기술제공자, 농지임대 또는 위탁자, 생산물을 대량으로 구입·가공·유통하는 자)은 의결권 없는 준조합원으로 참여가능하다. 단..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농가소득 (앞선 포스팅과 같은 내용이 겹쳐있을 수도 있습니다.)→ 시장개방의 1차, 2차적인 피해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고 있어서 농업소득을 올리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또한 대부분의 제조업체가 농촌보다 도시에 있기 때문에 농외소득도 올리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농가 소득을 올리려면 이전소득을 상승시키는 수 밖에 없는데 정부는 직불금 제도를 통해서 이전 소득을 증가시키려고 한다. ☆농가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있다.도시의 임금이 점점 더 비싸지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의 일손이 자연스럽게 도시로 빠져나가 농촌의 일손이 부족해지게 된다. 따라서 농촌 역시 임금이 비싸지게 된다. 또한, 최저 임금제 상승으로 인해 노동부문의 경영조건이 악화되고 농업 소득 증가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금리스왑의 가치평가 → 처음 스왑계약을 체결할 때 금리스왑의 가치는 0이거나 0에 근접한다.(시간이 지나면 금리스왑의 가치는 양의 값을 가지거나 음의 값을 갖는다.) 예제7-2) 선도금리계약(FRA)를 이용한 금리스왑의 가치평가한 금융기관이 1억 달러의 명목원금에 대해서 연간 3% 금리를 6개월마다 지급하고 LIBOR를 지급받는 스왑계약을 체결했다고 가정하자. 이 스왑의 만기까지의 잔여기간은 1.25년이다. 따라서 오늘부터 0.25년, 0.75년, 1.25년 후에 지급액이 각각 지불될 것이다. 3개월 9개월 15개월의 만기에 대한 연속복리 무위험이자율은 각각 2.8%, 3.2%, 3.4%이다. 여기서 3~9개월 선도LIBOR금리는 (3.4% - 연속복리 → 3.429% - 반년복리) 이고,9~15개월 ..
7. 스왑 ★금리 스왑의 전형적인 이용 → 금리 스왑은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부채의 변형 : 고정금리 → 변동금리, 변동금리 → 고정금리 (대출 받았을 때라고 생각해보자.)- 자산(투자)의 변형 : 고정금리 → 변동금리, 변동금리 → 고정금리(채권 투자 했을 때라고 생각해보자.)☆스왑을 이용한 부채변형에 대해 알아보자.마이크로소프트 사와 인텔 사의 스왑거래를 예로 설명해보자. 마이크로소프트에 있어 스왑은 변동금리 차입을 고정금리 차입으로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반면 인텔에 있어서 스왑은 고정금리 차입을 변동금리 차입으로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따라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텔과 스왑거래를 통해서 외부대출자에게 LIBOR + 0.1%의 이자(변동금리)를 지급하고, 스왑계약에 따라 인텔에서 LIBOR의 이..
★농가소득의 지속적인 하락(농가소득 = 농업소득 + 농외소득 + 이전소득) → 농가소득은 농업생산활동을 통한 판매소득인 농업소득과 그 외의 활동으로 얻는 농외소득, 그리고 정부의 지원금과 같은 이전소득으로 나뉜다. 그러나 농가소득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도·농간 소득격차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농업소득은 조수입에서 경영비를 뺀 것으로, (조수입 = 농가가 당해년도의 농업경영결과로 얻은 총수입으로서 농산물 판매수입) 여기서 경영비는 인건비, 임대료, 비료값 등의 농업에 필요한 운영 비용을 의미한다. 조수입은 총수입으로써 P x Q이다. P = 농산물의 판매 가격이고, Q = 농산물의 생산량이라는 것은 알고있을 것이다. 그런데 농업소득을 증가시키려면 Q는 일정한 양이 정해져 있기..
7. 스왑6단원을 들어가기 전 더더더 중요한 스왑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려고 합니다.스왑은 장외 파생상품계약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합니다!!→ 스왑이란 미리 약정한대로 특정 미래에 현금흐름을 교환하는 계약입니다. 스왑에서는 현금흐름이 지급되는 날짜와 현금흐름의 규모를 계산하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현금흐름을 계산하는 데는 이자율, 환율 또는 다른 시장변수의 미래 값이 필요합니다.7단원에서 배울 스왑은 크게 금리스왑과 통화스왑으로 나뉘는데 여기서는 금리스왑과 통화스왑을 아주 심플하게 예를 통해서 훑어보는 식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금리스왑 : 변동금리 → 고정금리(반대의 경우도 가능) ~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교환으로 금리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통화스..
★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부문의 영향과 대응방안☆국제곡물가격 상승과 애그플레이션 - 거시적인 요인 : 미국의 경제 침체, 달러약세, 금리인하, 상품시장의 자금유입으로 인해서 상품시장으로 눈을 돌려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수요측 요인 : 식용뿐만 아니라 사료용, 연료용 곡물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국제 곡물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 기타 요인 : 수출국의 수출규제 강화로 인해 국제 곡물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서 사료가격이 상승하고 생산비가 상승해 축산농가의 소득이 감소하며, 식품가격이 상승해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애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사료가격 상승) 축산농가의 소득이 감소하여 도축률이 상승하고 암소까지 도축하게 되어 생산기반이 위축되어(씨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식량안보 위협☆온실효과란?태양의 열이 지구로 들어와서 나가지 못하고 순환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적외선이 구름이나 수증기,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효과 기체에 의해 흡수되어 반정도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다시 지표로 되돌려 보내어 낮과 밤의 온도차가 적어지고, 지구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아주 중요한 현상이다. → 온실효과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온실효과 기체(이산화탄소, 메탄)의 과다 방출로 인해 야기되는 이상고온에 따른 지구온난화 현상이 문제이다.☆농업에 미치는 영향기후, 온도가 상승하면 유기물의 성장 및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다.뿐만 아니라, 강수량이 상승하면 지표가 유실되어 농업 생산력이 떨어져 농사 짓기 어려워진다.즉,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는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고온..
★ 결합생산물의 이윤극대화 선택◎ 결합생산물 → 동일한 생산 과정에서 함께 생산되어 나오는 상품을 말한다.◎ 생산변환곡선(생산가능곡선) : Z0 = h(x, y)→ 주어진 투입요소에 의해 최대한으로 생산 가능한 상품들의 조합들로 구성된 집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생산변환곡선 위의 점 A가 A'로 이동하는 것은 핸드백 생산을 △y만큼 줄이고 구두를 △x만큼 더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MPTx,y = - △y/△x : 한계생산변환율(생산변환곡선의 기울기) 즉, 생산과정에서 구두와 핸드백이 교환되는 비율을 말한다. - 생산변환곡선이 원점에 대해 오목한 모양 : 범위의 경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범위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GH를 잇는 선분이 생산변환곡선이다. 구두의 투입요소를 hx, 핸..
10. 기업의 이윤극대화→ 비용 극소화(9장)가 곧 이윤극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윤극대화를 위한 산출량의 선택- 이윤함수 π(Q) = TR(Q) - TC(Q) (이윤 = 총수입 - 총비용)① 총비용곡선과 총수입곡선의 거리 차이로 이윤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Q*에서 이윤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음)② 2-1) 한계의 개념에 입각한 도출 (그래프 이용) → 각 산출수준에서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를 구해서 MR = MC인 산출량if) MR(Q) > MC(Q)이면, 산출량 한 단위 더 증가시킬때, 추가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보다 크고,MR(Q) < MC(Q)의 경우, 산출량 한 단위 더 증가시킬때,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이 추가로 벌어들이는 수입보다 크다.∴ MR =..
★주가지수 선물의 가격 →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된다. (q = 배당수익)- 주가지수선물 차익거래전략 일 경우, 주식을 매도하고 선물계약을 매입하는 전략을 이용하고, 일 경우, 주식들을 매입하고 선물계약을 매도하는 전략을 통해서 차익거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통화선도계약과 통화선물계약 → 공식을 이용해 보자.☆ EX) 1달러의 환율에 대해서 r (→ 우리나라 금리) : 5%, rf (→ 외국통화($) 금리) : 3%, S0 : 1,100원일 때,선도가격은 으로 계산된다.만약 국내금리가 외환금리보다 크다면(r > rf) → F0 > S0국내금리가 외환금리보다 작다면(r < rf) → F0 < S0 이다.따라서 선도환율은 양국간 금리차로 결정이 된다. ☆현물가격과 선도가격 간의 관계 설명 → (국내금..
★ 예정소득 투자자산의 선도가격은 공식을 이용해 봅시다.→ (여기서 I는 미래소득의 현재가치를 말함) EX) 현재 만기가 9개월 뒤인 900달러로 거래되는 선도계약이 있다. 이표채는 앞으로 4개월 후 40달러의이자를 지급한다. 단, 4개월동안 적용되는 연속복리 기준 무위험이자율은 연 3%이고, 9개월 무위험이자율은 연 4%이다.→ 이 경우, 9개월 동안 900달러를 모두 빌리는 것이 아니라, 4개월 동안 채권이자인 40달러만 빌리고 나머지 금액을 9개월동안 빌리는 것으로 이해하자! ① 선도가격이 910달러인 경우1) 채권이자 40달러의 현재가치를 계산하면 달러가 나오는데 이 금액을 4개월동안 차입하고,나머지 금액인 900 - 39.60 = 860.40달러를 9개월동안 차입한 뒤 (900달러를 빌려옴)1개..
★단기 생산비용 → 고정비용이 존재 노동투입량이 L일 때, 노동의 단위가격이 w면 총가변비용 = wL이다.이를 이어주면 TVC(총가변비용 곡선)이 도출된다→ L이 가변요소이기 때문,, (총생산곡선과 대칭관계) TC = TC(Q) = TFC(총고정비용) + TVC(총가변비용)→ 총 비용곡선은 총 가변비용곡선을 총 고정비용곡선의 크기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모양이 똑같다! ☆단기평균비용(SAC), 단기한계비용(SMC)- 평균비용 : AC = TC/Q = TFC/Q + TVC/Q = AFC(평균고정비용) + AVC(평균가변비용)→ U자 모양 :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추세(낮은 산출량에서 평균고정비용이 급격히 줄어드는데 상대적으로 큰 영향 → 높은 산출량에서 평균가변비용이 빨리 늘어나는 것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
9. 생산자 비용 ★ 비용 극소화를 위한 선택 → 등량곡선 상의 무수한 (L, K)에서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조합(이윤 π ↑ = 총수입TR ↑→ 총비용TC↓) ☆ 등비용곡선 → 주어진 수준의 총지출로써 구입 가능한 생산요소의 조합들을 연결한 선- 노동L → 임금w, 자본K → 자본용역 당 가격v, 총지출 C→ C = wL + vK → K = -w/v x L + C/v1) 총비용(총지출)의 증가 2) 노동의 상대가격 변화(w↑, w↓)→ 절편만 변화, 기울기 불변 → L축의 절편만 변화 ★ 비용 최소화 조건 → 등비용곡선 = 등량곡선① 주어진 산출량Q→ 주어진 산출량 Q를 달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지출 C1, (균형 노동공급량, 균형 자본투입량)을 투입해 비용최소화 F에 달성할 수 있음② 주어진 총지출..
8. 기업과 생산기술이전까지 소비자 이론을 공부했었다면 8장부터는 생산자 이론이 시작됩니다소비자 이론 : 효용 극대화를 위한 소비자의 선택 → 수요(곡선)생산자 이론 : 이윤 극대화를 위한 기업의 선택 → 공급(곡선) ★ 가변투입요소가 하나일 경우Q : 산출량 (종속변수) , L : 노동력, K : 자본 (독립변수 → 투입요소)생산함수는 Q = f(L, K)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K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고정 투입요소), (L은 가변 투입요소)☆ 총생산곡선(TP) 그리기0→α로 가는 부분은 L(노동)이 증가하면서 Q(총생산)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노동의 한계생산 체증α→β로 가는 부분은 Q가 증가를 하는데 점점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 노동의 한계생산 체감β→ 는 Q의 감소를 보여준다 ..
5. 선도가격과 선물가격의 결정 ★ 투자자산과 소비자산- 투자자산 : 주식, 채권, 금, 은...- 소비자산 : 옥수수, 구리, 석유, 돼지고기... ★ 공매 (Short selling)→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하는 것 - 일부 투자자산에 한해서만 가능(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나중에 매입해서 갚는 것)원리투자자 → 브로커에게 X기업 주식 공매주문 → 브로커는 다른 고객으로부터 X기업 주식을 빌려와 시장에서 매도(공매기간 중 주가가 하락하면 → 투자자 이익 but 공매기간 중 주가 상승 → 투자자 손실) → 투자자는 다시 그 주식을 매입해 공매포지션을 마감하고, 매입한 주식을 빌려 온 고객에게 갚아야 함또한 공매포지션을 보유한 투자자는 매도 증권에서의 배당금, 이자를 브로커에게 주어야 함!! 예를 들어..
5장, 선도가격과 선물가격의 결정에 들어가기에 앞서얼마전 삼성증권의 공매도 사태라는 큰 사건이 있었죠...이번에는 공매도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매(Short Selling)→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나중에 매입해서 갚는 것을 공매라고 하는데 이 행위는 금융기관에서만 할 수 있다고 지난번 언급한적이 있습니다. 기관에서 주식이 없는 상태에서 시세차익을 남기는 것이 공매죠즉, 이 주식의 가격이 미래에 떨어질 것 같다!! 그러면 지금 주식이 없더라도 주식을 끌어와서(빌려서) 현재 가격에 주식을 팔아버린뒤,미래에 주식이 떨어졌을 때, 그 주식을 다시 사서 갚는 방식으로 시세차익을 남깁니다.또한 주식의 가격이 미래에 오를것 같다!!! 그러면 지금 주식이 없으니 은행에서 돈을 빌려와 주식을 현재 가격..
6. 소비자 이론의 응용과 확장 ★노동공급에 관한 결정24시간 중 10간 → 먹고 자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나머지 14시간 → 경제적 선택의 대상1) 노동을 함으로써 소득을 얻는 일 2) 여가로 사용하여 즐거움을 누리는 일H(노동시간) + L(여가시간) = 14, 시간당 임금률 w0로 주어졌을 때, 소득 → w0H = M효용함수 → U = U(L,M), 예산선 : M = w0H =w0(14-L)점 E0에서 효용이 극대화된다 (L*, H*) → 시간당 임금률 w0이 w1로 상승할 경우, 더 가파른 예산선이 그려지고 점 E1에서 효용이 극대화되는데 점E1이 E0보다 왼쪽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임금률 상승이 노동공급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을 보여준다.→ 임금이 오르면 노동을 더 많이하지만, 계속해서 오르면 ..
★가격소비곡선, 수요곡선- 가격소비곡선 : Y재의 가격과 M(소득)은 고정, X재의 가격이 Px1, Px2, PX3...으로 변화한다고 할때, 예산선의 변화에 따른 무차별곡선과의 최대효용점이 E1, E2, E3...로 변화하는데 이 점들을 연결시켜주면 가격소비곡선 (PCC)이 도출된다. - 수요곡선 : 이 결과를 토대로 X재의 가격과 수량에 대한 그래프를 그려보면 가격이 Px1, Px2, Px3...로 떨어지면서 수요량이 x1, x2, x3...로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이렇게 도출된 그래프가 X재의 수요곡선이다 → X = d(Px ; Py, M), 이런 개별 수요곡선들이 수평방향으로 더해져서 시장 수요함수가 도출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른 가격소비곡선의 모양① εp = 1일때 → x,..
5. 소비자의 최적선택 ★★★중요한 부분이 많습니다 ★ 예산제약 → 경제학 → (경제적 자원의 한계 < 인간의 욕망)- 예산선: 주어진 소득을 전부 사용하여 구입할 수 있는 두 상품의 여러 조합을 나타내는 직선주어진 소득 M, X재의 가격 Px, X재의 구입량 x, Y재의 가격 Py, Y재의 구입량 y 일때,→ 예산제약식이 예산제약식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저런 모양이 나오는데 빗금친 부분이 예산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의 조합들이 담겨진 예산집합이다.★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예산선 ① 소득의 변화 → 두 상품의 가격변화 x, 소득 M →M' 증가(소득변화 → 기울기 불변, 절편만 변화)② 가격의 변화 → M,Y 가격변화 x, X가격 Px → Px' 증가, M,X 가격변화 x, Y가격 Py → Py' 증가..
★ 선도 이자율 → 현재 시장의 현물이자율을 기준으로 추정된 미래 한 기간에 대한 이자율,, → 첫번째년도에 3%, 둘째년도에 5% 받는 것이나 2년동안에 둘다 4% 받는 선택이 같은 결과를 초래함,,* 상향 vs 하향 수익률곡선- 수익률 상향곡선일때 → (R2>R1) → 선도이자율(RF) > R2 (T2만기 무이표이자율)- 수익률 하향곡선일때 → (R1>R2) → 선도이자율(RF)
4. 소비자의 선호체계소비자 이론 → 가계의 최적 소비행위를 분석하여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도출하는 것.(한정된 소득을 가지고 주어진 상품가격의 제약조건하에서 어떻게 상품을 선택해서 소비해야만 효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지) ★ 효용함수 U(W) (효용 → 일정 기간동안 일정량의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주관적인 만족감 or 행복감)- 총효용 (TU) : 일정 기간동안 일정량을 소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용의 총량- 한계효용(MU) : 상품 1단위를 추가로 소비했을때 변화되는 총효용의 크기★ 무차별곡선 → 소비자에게 똑같은 수준의 효용을 주는 상품묶음의 집합(i) ★ 한계대체율 → 동일한 효용을 유지한다는 전제하에서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두 재화 x와 y의 교환비율(두 상품사이의 한계효용..
★ 균형분석의 응용 ☆ 물품세 부과의 효과ex) 휴대폰 시장정부에서 휴대폰 1대당 5만원의 물품세를 부과한다고 하자.휴대폰 공급곡선은 5만원이 상승하여 위로 올라갈 것이다. (공급자가 가격을 5만원 더 받으려고 할 것이기 때문)따라서 균형가격이 상승할 것이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할 것이다. (E → E')여기서 P'~P*는 수요자 부담, P*~P"는 공급자 부담이다. → (P' ~ P" = 5만원 → 공급자는 5만원 더 얹어서 팔려고 하지만 시장 여건 때문에 가격이 더 작은 폭으로 오름 즉, 물품세 부과로 인해 소비자에게 어느 정도 부담이 가게 된다.) ☆ 가격 규제의 효과 - 가격 상한제 ex) 쇠고기 시장자유시장에서 P* 가격, Q* 거래량에 거래가 되고 있는 쇠고기이다.소비자들이 쇠고기 가격이 너무 ..
3. 시장의 균형★ 시장 균형의 분석 (시장균형 → 수요 = 공급) P*(균형가격) → 다른 교란요인이 없는 한 더 이상 가격이 변하지 않고 정지된 가격수준이다.Q*(균형수급량) , E : 균형점 Qs = Qd → (시장가격 = 균형가격 이면 완전경쟁시장)☆ 균형가격 P* 도출Qd = -aP + b, Qs = αP - β일때, 수요함수와 공급함수가 같을 때(Qs = Qd) 균형가격이 도출된다.→ -aP + b = αP - β → [P* = b+β / a+α]★ 균형의 변화수요가 증가하면 수요곡선이 D → D'로 이동, 이 경우 소득이 증가하거나 인구가 증가하는 가격 이외의 요인이 있을 것이다.균형점은 E → E'공급이 증가하면 공급곡선이 S → S'로 이동, 이 경우 기술수준이 상승했거나 요소의 가격이 ..
2. 시장과 수요 · 공급 ★시장수요 → 가계의 효용 극대화- 수요의 결정요인 : P(상품의 가격), Pr(다른 상품의 가격), M(소득수준), N(인구의 크기), T(기호)→ 시장 수요함수 Qd = f(P, Pr, M, N, T)∴ 시장수요곡선 → 수요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제변수는 P(가격)이다. Ceteris Peribus(다른 모든 조건들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 → Qd = f(P ; Pr, M, N, T)★수요의 법칙 → 가격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는 역의 관계를 가짐,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형태를 가짐수요가 증가하면 수요곡선 상의 점이 이동하고, 가격 이외의 변수가 변하면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함,,,★수요의 탄력성☆ 탄력성이란? → 어떤 함수관계에서 A = f(B)..
★ 채권가격의 결정 → 무이표 이자율예제) 2년 만기 국채 원금 100달러반년 복리기준 액면 이자율 연 6% → 반년 복리기준 3% (100달러의 3% → 3달러)국채 무이표 이자율을 활용해서 채권가격 구하기★ 채권 수익률 → 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채권 시장가격과 같게하는 할인율(제일 높은 채권에 투자해야겠죠?)★ 액면가 수익률 → 채권의 가격을 액면가와 같게 만드는 채권 수익률,,표 4-3을 이용한 부트스트랩법 → 국채 무이표 이자율 구하기①~③까지는 이자율이 0이기 때문에 [채권가격 x e의 Rx만기 승 = 100(채권)]공식에 대입하면 됨,,, ④, ⑤는 1.5년의 이자율은 8%이므로 1년에 8% → 반년에 4%로 계산해서 6개월, 1년, 1.5년(원금까지)의 합을 계산2년의 ..
4. 이자율 (금리 → 1년 기준)파생상품의 가치평가에 있어서 한 요인,, ★ 이자율의 종류 ① 국채 이자율→ 정부가 자국 통화로 차입할 떄 발행하는 채권이다 (완전한 무위험 이자율)② LIBOR(런던 은행간 대출 이자율) ↔ LIBID(예금 금리)→ 12개월까지 만기, 세계적으로 가장 기초(기준)가 되는 금리③ 환매 이자율(Repo rate / repurchase agreement)환매계약 →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금융기관이 오늘 증권을 X값에 팔고, 그 증권을 약간 높은 Y값에 사들이는 계약(이 계약은 금융기관이 자금을 차입한 셈이 되어, 이자율 = Y - X 차이(환매 이자율)로 금융기관이 증권을 담보로 대출받는 셈이다.)④ 무위험 이자율→ 전통적으로 LIBOR를 무위험 이자율로 사용 ★ 이자율 측..
지난 포스팅☞GATT체제, UR협정 이후 보호무역에서 자유무역으로 변화함에 따라 농업의 다원적 기능이 중시...이번에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아주 잘 활용하는 우수 사례인 스위스의 농업과 농업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다원적 기능에 몰입하는 스위스 농업과 농정- 스위스는 1996년 헌법 개정을 통해 농업은 식량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농업생산 활동과 결합하여 다원적 기능을 발휘한다는 인식을 공식정으로 명문화함 ▶정부 → 시장에서 보상하지 않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해 농업 직불제를 통해 보상하기로 규정 (국민의 식량공급 보장, 천연자원 보전과 농촌경관 유지, 농촌지역 주민 분산 정착 보장) ▶다양한 직불제 시행 ㉠ 토양 및 수자원 보호, 생물 다양성 유지 등의 의무이행을 전제 일반 직불금을 지급, ..
2. 선물 시장의 구조 ◎ 선물 계약의 특징- 기초자산은 광범위하다(주식, 외환, 옥수수, 금 등...)- 거래소에서 거래됨 (무엇이, 어디서, 언제...)- 일일정산 → 증거금을 넣고 매일 정산하는 시스템,,→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에의 수렴(인도월이 다가올 수록) ★ 증거금 → 일일정산,,- 개시증거금→ 선물계약 시작시, 일정금액을 보증금으로 넣는 것- 유지증거금→ 선물이 하락하면서 최소한으로 유지해야하는 증거금 (증거금 계정에 잔액이 유지증거금보다 더 하락하면 개시증거금만큼 증거금을 넣어야 한다.)cf) 선도거래 → 담보거래 ☆ 선물거래소 용어미결제 약정수량 : 남아 있는 매수(또는 매도) 포지션 수 (거래량과 혼동 ㄴㄴ)정산가격 : 개장시장 종료 직전에 거래된 가격 (일일 정산 과정에서 이용된다.)거..
★ 환경정책 구현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General Approach to Implementing Environmental Policy)- 배분적 효율 이외의 접근 방식① 명령, 통제 접근법(전통적인 접근법)→ 대부분 나라에서 환경정책을 지배,,② 시장 접근법 → 5장에서...☆ Command-and-Control approach : A policy that directly regulates polluters through the use of rules or standards규칙이나 기준의 사용을 통해 오염원들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정책 ★ 명령, 통제 접근방식이 비용 효율적인가? (Is the Command-and-Control Approach Cost-Effective?)명령, 통제 접근법은 ①..